-
-
스테로이드 인류 - 기적과 죽음의 연대기
백승만 지음 / 히포크라테스 / 2025년 3월
평점 :
국제운동경기에 참여하는 운동선수들의 도핑 이슈에 자주 등장하기도 하고,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약품들이나 식품 등에 포함되어 이런저런 작용들로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스테로이드 , 바로 이 성분에 대한 인류사를 다룬 책을 만났다.
백승민 교수의 ‘#스테로이드인류 :기적과 죽음의 연대기’ 이다.
_스테로이드steroid는 ‘스테롤sterol을 닮은 구조의 화합물들’을 통칭하는 말이다. 즉 하나의 화합물이 아니다. 따라서 활성도 독성도 다양하다._p9
이야기는 19세기 불로초로 기대되었던 테스토스테론의 발견부터 시작되어 깜작 놀랐었던 고환이식의 역사, 부작용과 약으로서의 적합성 여부, 도핑의 역사, 피임약으로 연결되는 연구에 관한 내용들, 피임약 개발에 배경이 되는 당시의 악법과 환경 등에 대한 자세한 설명, 피임약 임상시험의 긴 여정, 그리고 유방절제술과 난소, 합성 에스트로겐의 시행착오, 화학적 거세와 전립선암, 관절염 치료제로 쓰인 코르티손의 효과와 심각한 부작용 및 진화하는 코르티손 연구 등 까지.. 그리고 각 챕터 끝의 ‘더 들어가기’ 파트까지...
정말 이 책으로 스테로이드에 관한 거의 모든 것들을 알 수 있을 듯싶다. 읽으면서 몰랐었던 내용을 알아가는 충격과 지적 즐거움도 있었지만, 무엇보다도 어떤 약물이나 성분이 발견되고 임상을 거쳐 질환 등에 사용되고, 그 과정에서 사회적 구조와 법, 연구자들, 기관, 국가들간의 경쟁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알 수 있었고, 임상을 거쳤다고 해도 장기복용시 발생되는 부작용에 대해서는 경험을 통해서 얻을 수밖에 없겠다는 생각도 들었다. 아마도 지금은 발견되지 않지만 의료기술이 발달 되면서 드러나는 또다른 뭔가가 잠재적으로 있을 수도 있고 말이다.
오랜 시간과 노력을 통해 우리 곁으로 온 스테로이드... 여전히 계속 다양한 적응증을 찾아내고 효과와 부작용을 연구 중이다. ‘베일에 싸여있던 스테로이드의 염증 조절 기전도 조금씩 밝혀지고 있다’고 한다. 어쨌든 어떤 약물이든 맹신해서는 안 될 것이고 또한 너무 무시를 하는 것도 바람직한 태도는 아닐 것이다. 판단은 참 힘들지만 일선에서 노력하고 있는 이들이 있다는 것도 기억해야 하겠다.
스테로이드에 관한 책, 정말 흥미진진하게 읽었다. 재미있는 과학책으로 추천!
_... 가장 민감하게 변화를 느끼는 장기는 무엇일까? 신체 변화를 즉각적으로 감지하는 장기는 바로 신장이다. 신장은 몸속의 피가 모두 거쳐 가는 장기여서 신체에 일어나는 변화를 바로 감지할 수 있는 최적의 장소다. 감지만 하고 끝날까?.... 다행히도 신장은 몸의 변화를 감지한 후에 곧 바로 그에 맞는 신호를 보낸다.... 우리 몸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키플레이어key player라고 볼 수 있다.
신장이 하는 일을 돕는 장기도 있다..... 우리는 이 장기를 부신이라고 부른다._p241
_스테로이드가 이렇게 무섭다. 테스토스테론, 에스트론, 프로게스테론 같은 성호르몬이 위험하듯이 부신에서 나오는 코르티손 또한 위험한 것은 매한가지다. 약이 독이고 독이 약이다. 효과가 강력한 만큼 독성도 강력하다. ‘양날의 검’이라는 표현이 딱 맞는데 당시 유명 학회지에서 코르티손을 가리켜 쓴 표현이다. 일시적으로 관절염에는 도움 되지만, 장기적으로 환자에게 도움 될지는 알 수 없는 상황을 적절히 나타낸 말이다._p2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