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두 번째 교과서 x 정우철의 다시 만난 미술 나의 두 번째 교과서
EBS 제작팀 기획, 정우철 지음 / 페이지2(page2) / 202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술 감상의 문턱을 낮춘 친절한 해설로 정평이 나 있는’ #정우철 도슨트가 #나의두번째교과서 시리즈에 정우철의 다시 만난 미술로 함께 하였다.

 

최근 예술관련 도서들을 많이 접하고 있는 편인데, 정말 봐도봐도 새롭고 즐거운 시간이다.

 

각 도서들마다 쓴 이의 스토리텔링을 따라가며 색다르게 화가들과 작품세계들을 맛보고 있다. 정우철 도슨트는 이 책을 통해서 21명의 예술가의 인생과 작품이야기를 풀어주고 있었는데, 2명 때로는 3, 이렇게 비교와 공통점을 찾으면서 해설해주고 있었다. 다른 예술서와 한 눈에 구분이 되는 지점이 바로 이것이였다.

 

 

이중섭과 모딜리아니를 예술과 사랑, 인생관점에서, 박수근과 고흐를 별과 나무로 삶의 순수함을 그린점을, 모네와 르누아르는 발고 경쾌한 인생을 포착한 것, 생각지 못한 케미의 클림트와 실레는 자유와 공포로,

 

모지스와 루소를 들어서 인생에 늦은 것은 없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었다. 세 명의 여성작가 젠틸레스키, 수잔 발라동, 프리다 칼로 로는 힘들었던 인생 속에 꽃피운 예술의 혼을, ‘세상이 끔찍할수록 미술은 추상에 가까워진다는 부제는 칸딘스키와 클레에 붙여 놓았다.

 

뜻밖에 가슴 아프게 다가왔던 뭉크와 키르히너를 통해서는 내면의 감정 표현에 대하여, 로댕과 클로델의 그 유명한 로맨스.... 내게는 여전히 로댕은... 불쌍한 클로델...., 그리고 마지막 장은 영원한 천재 두 인물, 다빈치과 미켈란젤로로 끝을 맺고 있었다.

 

 

시대를 넘어, 지역을 넘어 함께 읽어가는 미술가들은 더 흥미로웠는데, 연결점과 공통점들을 보며 페이지를 넘기는 재미가 있었기 때문이였다. 특히 한국작가들과 서양작가를 같이 언급하고 있는 챕터들은 얼마나 반갑던지! 새로운 느낌이였다.

 

페이지 술술 넘어가는 예술 스토리텔링을 접하고 싶다면 추천하고픈 책이다.

 

 

_그 때 실레는 클림트에게 자신의 드로잉 몇 점을 보여주며 이렇게 말했다.

저의 스승이 되어주세요.”

하지만 클림트는 실레의 그림이 훨씬 뛰어나다고 극찬하면서 스승이 될 수 없다며 친구처럼 지내자고 했다. 그의 이런 면모를 봤을 때 클림트가 얼마나 대단한 사람인지 알 수 있다.

..... 실레가 자신이 몇 점의 드로잉을 드릴 테니, 한 점의 드로잉만 달라고 하자 클림트는 또 이렇게 말했다.

너의 드로잉이 훨씬 훌륭한데, 왜 나의 것과 바꾸려고 하지?”

그때부터 클림트는 실레의 친구이자 동지이자 후원자이자 지지자가 되었다._p127

 

 

_키르히너는 생전에 이렇게 말했다.

 

예술은 진실된 내면의 감정과 경험을 바탕으로 해야 한다. 그것이야말로 진정한 예술이다.”

 

그의 죽음은 독일 표현주의 운동에 큰 충격을 주었고, 그 예술적 유산은 오늘날까지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_p24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