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경예대의 천재들 - 이상하고 찬란한 예술학교의 나날
니노미야 아쓰토 지음, 문기업 옮김 / 현익출판 / 202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니노미야 아쓰토는 주로 호러 소설이나 오락 소설을 쓰는 작가이고, 그의 아내는 예대생이다고 한다. 나무망치로 끌을 두드리며 육지거북을 조각하기도 하고 - 앉으려고 이 조각 등에 펠트를 붙인다 - 겨울날 한밤중에 전분 풀을 물에 녹인 화선지를 얼굴에 몇 장씩 겹겹이 붙이는 행동을 하기도 한다. 조각과 과제 때문이라는데 도무지 저자는 이해가 가지 않는다. 수지 가공 수업때 사용해야되서 방독면을 대학생협에서 판다는 예술대학은 도대체 어떤 곳인가 하는 궁금증이 새록새록 솟아난다. 아내를 통해서, 그 안에 있는 사람들은 어떤 이들일까 하는 의문들이 생긴다.

 

그래서 저자는 동경예대를 조사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이 책, #동경예대의천재들 은 일본 최고의 예술대학, 동경예술대학의 캠퍼스 풍경을 흥미롭게 담았다는 평을 받으며 베스트셀러로 인기리에 만화로도 제작된 책이라고 한다.

 

동경예술대학은 우에노에 위치되어있다. 여기에는 미술학부와 음악학부에서 예술혼을 불태우고 있는 천재들이 등장한다. 시작은 재수는 기본이라는 어마어마한 입시경쟁과 높은 수준의 시험을 실제 경험자들을 통해서 얘기해 주고 있었다. 설명만 봐도 입이 떡 벌어지면서 이 좁은문을 뚫고 입학한 이들이 더 궁금해 졌다.

 

참 많은 이들이 등장하는데, 오케스트라에 휘파람을 포함시킬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는 학생, 기계 장치 인형을 만드는 이가 만드는 칠기, 악기에 몸이 맞춰진다는 바이올린 연주자, 목숨을 앗아가는 기계들이 가득한 곳 단금 연구소의 작업자, 학생들 사이에 예대에서 제일 경박하다라고 말하는 성악과, 예술가가 되고 싶지 않는 이까지.... 전공도 원하는 것들도 생각들도 하나같이 다양하다.

 

특히 이를 풀어가는 저자의 글이 무척이나 재미있어서 홀딱 빠져서 후딱 읽을 수 있는 책이다. 그렇다고 유머만 있는 것이 아니다. 뭔가를 창작하는 이들의 정신세계를 잠깐 엿볼 수도 있고, 싫어도 여기까지 왔다가 다른 길로 턴한 모습을 보며 그냥 우리네 삶이 엿보이기도 했다. 천재란 이런 것일까 하며 주석을 달아주는 저자에게 공감하기도 하였다.

 

_"예술은 하나의 도구가 아닐까요. 사람이 사람이기 위한.“_p200

 

무엇보다도 이들이 예술을 할 수밖에 없는 그 열정과 몰입이 잘 보여서 지금의 내가 순수하게 마음을 주고 싶은 것은 무엇인가에 대한 생각까지 확장하며 읽을 수 있었다. 그림에 몰두하는 것이 얼마나 좋은지, 순간순간 떠오르는 색이나 이미지를 손으로 그려내는 것이 얼마나 행복한 지를 나 스스로도 잘 알지만 이를 일과 생활에 묻어버리며 있는 지금의 내가 자꾸 생각나서 반성하게 되는 시간이였다.

 

천재들의 캠퍼스라고 하지만, 우리 인생에 순수하게 단순히 좋아서 하는 것을 하나쯤 가져가는 것이 얼마나 특별하고 좋은 것일까 하는 깨달음이 다가오는 내용이였다.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모두 천재가 되는 것 아닐까!

 

_두 사람은 남에게 인정받겠다든가, 남을 이기겠다든가, 하는 생각과는 동떨어져 있었다. 어디까지나 자연스럽게, 즐기면서 최전선을 달리는 사람들이다. 천재란 그런 사람들을 가리키는 것인지도 모른다._p91

 

_“바이올린 연주자는 골격이 휘어 있거든요. 바이올린을 턱에 대고, 이렇게 연주하니까요. 그러면 몸의 좌우가 비대칭이 되어서 아랫니의 치열이 나빠지거나, 다리나 허리의 좌우 균형이 변하기도 해요. 그러면서 바이올린을 몸의 일부로 만들어 나가죠.”_p118

 

 

_"그래도 문득 이상적인 소리를 확 깨달을 때가 와요....“_p155

 

 

_... 다치바나 씨의 그림에는 사람을 오싹하게 할 정도의 힘이 깃들어 있었다. 그림 속 인물의 눈이 마치 나를 살피고 있는 듯한 느낌마저 들었다. "자신의 인생과 작품은 연결돼 있어요. 혈관으로 연결된 것처럼.“_p172

 

 

_"그런데 조각을 배우려고 했더니, 조각이 다양한 분야와 연결돼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예를 들면 조각은 건축과도 관련이 있죠. 어디에 조각상을 놓아두고, 어느 방에서 볼 것인가 등등 건축적인 사고를 하지 않고서는 성립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건축도 배워야만 합니다.“ 조각을 배우기 위해 건축을 배운다.

 

조각은 채색을 하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안료나 물감에 관한 지식도 필요합니다. , 회화도 공부해야 합니다.”_p25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