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대한 관계 - 우리 삶에 필요한 예술가적 통찰과 상상
김상균 지음 / 효형출판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른 장르를 통합해 보는 작업은 무척이나 즐거운 일이다. 소위 메타인지를 활성화 할 수 있어서 지적유희를 맘껏 즐길 수 있는데, 이번에 음악가과 화가를 연결해서 탐구해보는 시간을 #위대한관계 로 가질 수 있었다.

 

바이올리니스트 #김상균 이 다른 분야의 융합을 예술의 이 두 분야를 통해 풀어주고 있었다.

 

때로는 시대상과 연결해서, 때로는 형식적인 공통점을 연결하여, 또는 같은 내용 다른 표현과 느낌으로, 그리고 비교되는 두 인물들이 심리학적 특징상의 공통점으로, 등등 인물들의 연결점을 구분하며 알아가는 기쁨이 정말 컸다.

 

최근에 읽었던 바로크시대의 예술과 연결 지을 수 있었던 비발디와 카라바지오, 헨델과 루벤스 까지, 뜻밖의 등판에 반가웠던 멘델스존, 프라고나르, 신윤복편 - 인간 중심의 유희를 다루고 있었다 -, 인상 깊었던 쇼팽과 고흐의 나르시시즘 편, 인상주의 음악과 회화의 특징적인 요소인 리듬과 생동감을 중심으로 들어본 드뷔쉬의 <목신의 오후 전주곡>, ‘논리적 사고는 간결함을 낳는다편의 베베른과 쇠라는 생소한 작가들이였는데 표현법을 설명하는 내용이 마치 수학 같아서 현대적으로 느껴졌다.

 

 

독서를 훨씬 풍부하게 해주었던 것은 매 챕터 마지막에 들어있는 추천하는 음악 박스였다. 내용을 읽은 후에 듣는 곡들은 더 유의미하게 와 닿았다. 전반적으로 새롭게 알아가는 즐거움, 알고 있던 것도 다른 관점에서 보는 눈을 경험할 수 있었던, 오감이 즐거운 입체적인 시간이였다.

 

묶어놓은 두 예술가를 설명하는 분야들이 다양하고 이해하기 쉽게 잘 설명되어 있어서 미술이나 음악에 기초지식이 없더라도 편하게 볼 수 있는 내용이였다. 궁금한 분야라면 적극 추천하고 싶다.

 

 

_알레고리는 그리스어 알레고리아에서 유래됐으며 은유적 의미 전달을 뜻하는 단어이다. ..... 예술은 은유과 유추를 기반으로 하는데 헨델과 루벤스의 작품에는 이런 알레고리 요소들이 종종 있다. 특히 헨델의 오라토리오 작품들에는 그 특징이 잘 담겨있다._p35

 

_고흐의 작품을 말할 때도 나르시시즘을 빼놓을 수 없다..... 그는 여동생에게 보낸 편지에서 이런 글귀를 적었다. “한 사람이 여러 성격의 모습을 보여 줄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하고 싶어.”_p175

 

 

_이들 부르주아의 등장은 유대인과 이민자들의 인구 증가와도 연관 있는데 보헤미아 이민자 출신이자 후손인 구스타프 말러와 구스타프 클림트 또한 다시 성공한 예술가이자 부르주아였다._p242

 

 

_감각적이기보다는 분석적이고, 즉흥적이기보다는 논리적인 베베른과 쇠라의 예술세계는 결국 간결함이라는 응축된 정수로 귀결된다. 그들은 간결함이 지닌 힘과 본질을 알고 있었던 것이다._p29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