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켄슈타인 - 200주년 기념 풀컬러 일러스트 에디션 아르볼 N클래식
메리 셸리 지음, 데이비드 플런커트 그림, 강수정 옮김 / 아르볼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본문 중-

_...반쯤 꺼진 그 흐릿한 빛을 통해 피조물이 탁한 노란색 눈을 뜨는 게 보였습니다그것은 힘겹게 숨을 쉬더니 발작하듯이 팔다리를 꿈틀거리더군요.

이 변고를 접한 내 심정을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요그토록 힘들게 공들여 만든 그 괴물을 뭐라고 묘사해야 할까요.....

....

아름답다니맙소사놈의 노란 피부는 그 밑에 움직이는 근육과 동맥을 딱 맞게 덮었고검은 머리카락은 윤기 있게 출렁거렸으며이는 하얀 진주 같았습니다하지만 이런 화려함은 칙칙한 눈구멍과 거의 구분되지 않는 색깔의 축축한 눈동자쭈글쭈글한 얼굴그리고 일직선으로 뻗은 새카만 입술과 대조되어 오히려 더 섬뜩했습니다._

 

 

맨 처음 프랑켄슈타인 자신의 피조물(?)을 맞닥뜨린 장면이다.

 

 

고전명작으로 꼽히는 메리 셸리의 프랑켄슈타인 [부제현대의 프로메테우스]를 맨 처음 읽은 것은 어렸을 때였고그 후로는 고전영화부터 은유적으로 표현한 최근 영화까지 이런 매체로만 계속 접해왔었다그러다 반갑게 온 200주년 기념 특별판이 이 책이다그래서 다시 읽어볼 수 있는 기회를 만들게 되었다.

 

이제 보니 내가 활자로 이 책을 처음 접한 것은 20세기였고지금은 21세기 인공지능으로 가는 길목이다그래서 이번 독서 때는 인간복제인공장기, AI 등을 같이 연관 지어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 글 시작에 언급한 조우 장면은 창조자 역할을 한 프랑켄슈타인이 처음 접한 창조물의 비쥬얼에 받은 충격이 고스란히 느껴진다이어지는 내용에 자신이 추구하고자 했던 생명의 아름다움과는 먼 공포와 혐오만 느껴졌다고 표현하고 있다.

 

그렇게 새 생명체(?)에게 사랑이 아니라 분노와 증오를 퍼붓게 된다이것이 비극의 시작이다.

 

이 얼마나 인간이란 오만하고 잔인한가!

 

 

현대물에서도 복제인간이나 AI에 대한 시선에서도 비슷하게 이 내용이 투영될 때가 있다편리함과 호기심영생을 위한 성공물이지만동시에 다른 존재에 대한 두려움과 경계로 과오를 저지르는 인간을 다루는 경우들이 많다아마도 그 시작에는 이 소설이 있지 않을까 싶다.

 

그런 영화에서도 그렇듯이 소설도 읽다보면어떤 캐릭터가 그 깊은 속에 더 인간적인 품위를 지녔는가에 대한 의문을 계속하게 된다.

 

사람은 자만과 욕심으로 쉽게 오염되고 눈에 보이는 것에 앞이 흐려지지만크리처들은 오히러 순수함에 선하고 본질적이다이 이야기가 지금까지도 계속 회자되는 힘은 바로 이런 부분에 대한 깊은 주제가 있어서일 것이다.

 

 

-본문 중-

-“... 프랑켄슈타인다른 모든 사람에게는 공정하면서 왜 나만은그 누구보다 당신의 정의가심지어 당신의 자비와 애정이 절실한 나만은 짓밟으려는 건가내가 당신의 피조물이라는 걸 잊지마당신의 아담이어야 하는 내가 타락한 천사가 되었고아무 잘못도 없는 나를 당신은 기쁨에서 내몰았다.”_

 

_“... 나의 창조자인 당신이 나를 증오하는데나한테 아무것도 빚진 게 없는 다른 인간들에게서 내가 뭘 바랄 수 있겠나그들은 나를 멸시하고 혐오한다...... 저 쓸쓸한 하늘을 내가 찬양하는 건 당신네 인간들보다 내게 더 친절하기 때문이지.”_

 

 

 

긴 인간의 역사 속의 많은 시행착오의 근본에는 이런 편협함과 무조건적인 배척도 한 몫 했을 것이다.

 

 

다시 읽은 메리 셸리 의 프랑켄슈타인은 쓸쓸했고 슬펐다.

예전에는 어떤 시점에서 봤었는지 기억이 나지 않지만이번에는 만든 이(?) 조차도 그 외모만 가지고 괴물’ 이라고 일컬었던 그 크리처 관점에서 읽었고철저히 자신의 시점으로만 서술해 간 프랑켄슈타인’ 의 독백 부분에서는 안타까움이 더해졌다.

 

 

덧붙임데이비드 플런커트 의 그림으로 완성된 200주년 기념판은 정말 아름답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