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먼 자들의 도시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어느날 갑자기 바이러스 감염처럼 하나둘씩 사람들이 눈이 멀기 시작한다.

의지할 것은 눈을 제외한 모든 감각기관 뿐이다. 나머지 원초적인 감각기관들에

의존하면서 그들은 눈이 그들이 가지고 있었던 유일한 세계임을 다시 한 번 인식한다.

이 책을 사기 전에 주제 사라마구의 '눈 뜬 자들의 도시'를 선물 받았다. '눈 뜬 자들의 도시'

를 읽으려는 찰나 가까운 지인으로 부터 '눈 먼자들의 도시'가 먼저 나온 것이며

단순에 읽힐 정도로 대단한(나름개인차가 있게지만) 책이라고 소개해 주었다. 두 소설이

연작관계는 아니지만 우선 먼저 나온 소설을 읽어 보기로 했다.

책을 읽고나니 큰 수확을 이워낸 기분이 들었다. 세계의 전환은 새로운 세계의 시작의 아니라

기존 세계의 순환이라는 점이다. 태초 세계의 형성도 그러했으리라..

눈먼자들은 나약해서 눈뜬 자들에게 의존해야하는 존재가 아니라 나름 그 안에서

세계를 구축하며 힘이 센자가 새로운 권력을 가지고 휘두르며 순환의 카테고리 안에 들어

간다.

이 책의 가장 큰 미덕은  소설 안에서 잠언이 가지고 있는 큰 힘이다.

스토리는 재빠르게 전개되어 속도감 있게 읽히며 그 안에서 문학적인 묘미도 찾아낼 수

있어서 일석이조의 기쁨을 누릴 수 있다.

가장 큰 것은 역시 잠언으로 채크 스티거를 다닥다닥 붙여야 될 정도로 샐 수 없이 많았다.

보통 소설에서 잠언이 많으면 스토리 흐름에 거추장스럽고 방해가 된다.

그러나 이 소설은 그 순간 적절한 말은 누구의 행동이 아니라 잠언이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역할이 크다.

오랜만에 나에게 책을 찬차히 읽을 수 있는 기쁨을 줘서 고맙다.

마지막으로 덧붙이자면 '눈먼자들의 도시'가 재미 있다고 '눈뜬자들의 도시'도

재미 있을거라는 기대는 버려야 한다. 역시 영화든 책이든, 그게 또 책의 비슷한 제목이었든

전작을 능가하는 시리즈는 존재하지 않는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