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암여고 탐정단 : 방과 후의 미스터리 블랙 로맨스 클럽
박하익 지음 / 황금가지 / 201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나라에서 딱히 기억할 만한 탐정 캐릭터가 있을까? 기껏해야 내가 아는 우리나라의 추리작가가 김내선이나 김성종 같은 작가임을 고려해본다면 캐릭터는 아마도 더 찾기 어려울 것이다. 그나마 최근 들어 실존인물을 탐정으로 등장시키거나 유명한 문학작품 속 주인공을 탐정으로 등장시키는 작품들이 많이 나와서 그걸 기억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만큼 우리나라의 추리소설은 대체적으로 저변이 약하고,그나마 장편보다는 단편집 중심으로 나오고 있는 게 현실이다. 그러나 박하익의 <선암여고 탐정단 방과 후의 미스터리>는 우선 캐릭터자체가 상당한 매력을 가지고 있다. 이와 비슷한 캐릭터는 모 드라마에서 본 기억이 있는데,아마도 여탐정이라는 부분에서 큰 매력을 느꼈던 것 같다. 여탐정이라는 보기 드문 캐릭터를 가지고 작품을 만들어냈다는 것 자체부터 큰 점수를 주고 싶을 정도다.

 

이런 전대미문의 여고생 탐정단 캐릭터를 등장시켜 신종 변태인 '무는 남자'부터 스타의 총격사건,서로 다른 주장을 하는 학급 내에서 일어난 사건,토끼 인형만 훔쳐가는 괴상한 사건,연극 <악마의 대본>에 얽힌 사건 등 연결고리가 없을 것 같은 사건들을 마치 하나로 보이게 만드는 작가의 능력이 대단한 작품이다. 그리고 여기에 탐정단의 모습을 상상할 수 있었던 표지 그림과 마치 문제를 푸는 것 같은 특이한 각 사건의 챕터가 얼핏 보면 가벼워보이는 작품처럼 느껴지겠지만,작품을 읽어보면 점점 무거워지고 심각해지는 작품임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작품에 나온 사건들 모두 기발한 트릭이나 추리가 나오지는 않는다. 대부분 사건의 동기나 원인에 집중하고 있는 작품들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던 것은 그 구성이 억지 설정이 아니라 다른 사건과 절묘하게 이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가령,한 사건에 이전 사건의 등장인물이 다시 나와 그 사건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설정하기도 하고,또 한 사건 안에 또 다른 사건의 이야기를 끄집어내기 때문에 마치 연작소설을 읽는 것처럼 큰 무리 없이 읽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여기에 사건의 소재도 왕따,낙태,인터넷의 루머,성적 문제 등 우리가 언론을 통해 듣거나 한 번 쯤 들었던 문제들이 중심이 되기 때문에 읽고 나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한 번 쯤 다시 한 번 고민해보고 생각해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추리소설의 사회적 역할까지도 찾을 수 있었던 작품이었다.

 

수록된 사건 중에서는 문제 2와 3이 가장 기억에 남았는데,바로 위에서 말한 부분들 때문이었다. 처음에 봤을 때는 나쁘게만 보였던 사건들이,탐정단의 조사 결과 또 다른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여기에서 우리의 비뚤어진 생각과 주변의 지나친 관심 혹은 무관심이 얼마나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지도 충분히 알 수 있었다. 작가의 말 부분에 나온 여러 도움을 준 분들 대부분이 여성인 것임을 생각해본다면 작가의 노력이 얼마나 컸는지를 알 수 있었다. 유쾌한 미스터리라고 하지만 읽고 나서는 그렇게 유쾌할 정도는 아니었다.

 

정작 이 작품의 원전이 된 박하익 작가의 단편 <무는 남자>를 읽어보지 못한 것이 아쉬웠다. 이 단편에서 장편으로 바꿀 수 있었던 작가의 노력에 감탄할 뿐이다. 개인적으로는 또 다른 속편이 나오길 바란다. 이 작품 하나만으로도 한국 추리소설에서 적게나마 수확을 거둘 수 있을 것 같다. 추리소설은 기발한 트릭이나 추리 없어도 쓸 수 있다는 것을 박하익 작가가 보여준 셈이다.

 

2013/2/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펜더가 우는 밤 - 제1회 살림 청소년 문학상 수상작
선자은 지음 / 살림Friends / 2011년 8월
평점 :
절판


 

책을 읽기 전 먼저 지은이의 나이를 알고 약간 어리둥절했다. 청소년문학상을 받았으니 당연히 10대나 20대 여성으로 생각했기 때문이다. 책의 일러스트도 그런 추측을 하게 만들었고,소재도 그 부분에 포함되어 있었다. 솔직히 말하자면 그저 그런 책이겠거니 하고 생각했었다.

하지만 내용은 그렇지 않다. 저승사자나 귀신,무당이 나오고,또 아빠의 죽음에 뭔가 숨겨진 비밀이 있다는 내용에서 얼핏 추리물 비슷하게 느껴졌지만 사실 정확하게 말하자면 이 작품은 추리물이 아닌 성장소설로 봐야할 것이다. 여주인공인 은조가 겪는 성장통을 표현해낸 작품이다.

주인공 은조는 열한 살 때 아빠를 잃고 엄마와 단 둘이 살고 있다. 그러던 어느 날 엄마는 집을 팔고 이사갈 준비를 하고,상심이 큰 나머지 은조가 아빠의 유품인 펜더를 팔려하는데,그날 누군가 집으로 찾아온다. 아빠의 후배라고 말하는 그는 아빠의 죽음에 뭔가 석연치 않은 구석이 있다며 아빠가 만든 밴드를 다시 해보자고 제안한다...

이 작품의 큰 주제는 아빠의 죽음에 대한 원인이 아니다. 위에 적은 그대로 은조의 성장통을 표현해낸 것이다. 이런 표현을 위해 작가는 의도적으로 캐릭터들이 모두 이어지게 만들었는데,그것이 이 작품을 쉽고 재미있게 읽게 하는 원동력을 만들어주었다. 그리고 제한적인 배경임에도 지루하지 않게 읽을 수 있었다. 청소년문학에 중요한 것은 장르가 아닌 청소년 문학에 어울리는 소재와 탄탄한 구성력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다만,곁가지로 만든 몇몇 캐릭터들은 작품에서 빠져도 될만큼 그리 큰 역할을 하지 않은 것 같아서 오히려 분량이 짧은 것이 다행이라 할 정도였다. 또 급격하게 마무리되는 결말은 좋은 평가를 가졌던 작품에 약간의 아쉬움을 남겼다. 이것들만 빼고는 읽기에 큰 무리가 없는 작품이다. 오랜만에 청소년소설을 읽었는데,아주 보람있는 경험이었다고 생각한다.

2011/9/2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