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폐허
스콧 스미스 지음, 남문희 옮김 / 비채 / 200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티븐 킹의 추천이 아니었다면 나는 이 작품을 읽어보지 못했을지도 모른다. 약간은 두꺼운 분량이 내 숨을 차게 했지만 읽다보면 나도 모르게 어느 새 공포의 한가운데에 들어가게 만드는 무서운 작품이다.

주인공 제프-에이미,에릭-스테이시 커플은 관광 중 만난 마티아스와 그리스인 파블로와 함께 마티아스의 동생인 헨리히를 찾기 위해 폐허로 떠난다. 하지만 그곳에서 마야인들의 이상한 행동 때문에 그들은 어느 구릉지 안에 갇히게 되고,설상가상 그곳에서 알 수 없는 덩굴이 그들의 목을 죄여온다...

왠지 모르게 나는 이 작품이 스티븐 킹의 작품과 많이 닮았다는 생각을 가졌다. 마치 밀실처럼 고립된 상황에서의 공포나,잔인하리만큼 날카롭고 자세한 죽은 사람에 대한 모습,거기에 인간의 원초적인 공포심리를 자아나 다른 것에 의한 환청이나 속삭임으로 표현하는 기법 등은 왠지 킹이 그냥 이 작품을 추천하지는 않았을 것 같은 생각이 들었다. 마치 <톰 고든을 사랑한 소녀>의 잔인한 슬래셔 무비를 보는 것 같은 기분이 들었다. 도저히 <심플 플랜> 이후 13년 만에 내놓는 장편소설이라는 것이 실감이 나지 않을 정도로 빠르게 읽히고 미묘한 움직임 하나 놓치지 않는다.

이 작품에서 대체적으로 나오는 공포는 인간의 말초적인 두려움을 이용한 공포다. 거대한 덩굴이 주인공들이 무심코 했던 말들을 흉내내면서 사건은 점점 거대한 덩굴에 대한 공포와 함께 인간의 본능을 드러내는 원초적인 공포로 바뀐다. 예전에는 스티븐 킹이 이런 식으로 속삭임이라든지 환청같은 것을 이용하여 표현했다면 스콧 스미스는 그저 따라하는 것,하지만 따라하는 것이 자신을 죽이려는 거대한 괴물체라는 설정을 사용하여 장르문학으로서 뛰어난 완성도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정말 '열 길 물 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 속은 모른다'라는 고전 속담이 다시 한 번 떠올랐다. 마지막에 서로를 죽고 죽여 결국 거대한 덩굴 스스로의 공격 없이도 인간을 먹을 수 있는 똑똑한 방법(한마디로 똑똑해진 살인마의 진화),이것이 이 작품을 기억 속에 남게 하는 장르문학의 힘인 것이다. 과연 영화 속에서는 어떻게 표현됐을까?

2008/10/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총알차 타기
스티븐 킹 지음, 최수민 옮김 / 문학세계사 / 200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마도 여러분은 괴담 중에 자동차 괴담을 들어봤을 것이다. 죽은 사람이 운전하는 자동차에 탄 사람이 죽느냐 사느냐를 결정하는 선택을 하는 이야기 말이다. 매우 간단한 이야기지만 호러의 제왕 스티븐 킹은 이 이야기를 아주 감동적인 호러로 위장했다. 마치 호러처럼 말이다. 하지만 엄밀하게 말하자면 이 작품은 호러의 탈을 쓴 소설이라고 말할 수 있다. 킹의 다른 작품들도 마찬가지지만 킹의 소설 스타일은 숨겨진 공포를 보여 주는 것이다. 이미 공포는 시작되고 있지만 중반부까지는 밝혀주지 않다가 점점 시간이 지나면서 서서히 공포를 보여 주는 구성을 즐겨 쓰고 있는 것이다. 킹은 그 방법을 위해 아주 자세한 심리묘사와 배경묘사를 중요한 서술로 즐겨 쓰고 있다.

그러나 이 작품은 초반부터 그런 식의 묘사는 쓰지 않은 채 우리를 놀라운 공포의 세계로 안내한다. 타지에서 대학을 다니고 있던 주인공이 갑자기 쓰러진 엄마의 병문안을 위해 새벽에 죽은 사람의 차를 타고 간다는 내용의 이 작품은 차에 타기 전부터 내용을 암시할만한 힌트를 준다. 그 힌트를 알아채지 못한다면 이 작품을 봐도 그냥 저질 공포물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읽으면서 생각한 것이지만 이 작품이 킹이 교통사고를 겪은 후에 아이디어를 얻어 쓴 소설이라는 배경지식 때문에 더 소중한 작품이 되었다. 그 전까지 킹은 괴물이나 유령 혹은 귀신이 나오는 공포와 원초적이고 심리적인 공포를 넘나드는 작품을 썼지만,아마도 이 작품 이후로 킹은 한 작품 안에 이 두 가지 요소를 모두 섞어 쓰는 재주를 익힌 듯 하다. 이 작품을 종이책으로 출판하지 않고 최초로 E-book 다운로드 형태로 출판한 것도 새로운 시도로 보여지며,아마도 스티븐 킹의 작품세계를 전과 후로 나누는 기준이 될 듯하다.

하지만 그리 길지 않은 내용이라 <애완동물 공동묘지>,<샤이닝> 같은 스티븐 킹의 잔인한 공포를 원했던 사람이라면 실망할 수도 있는 작품이 될 것이 뻔하다. 오히려 이 작품은 스티븐 킹의 애독자가 읽으면 더 좋은 작품이다. 처음 읽는 사람이 이 작품을 본다면 실망할 것이 뻔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중반부터 펼쳐지는 죽은 사람과 주인공의 자동차 안에서의 이야기는 최고다.

2008/5/2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애완동물 공동묘지 - 하 밀리언셀러 클럽 34
스티븐 킹 지음, 황유선 옮김 / 황금가지 / 200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실 나는 무서운 영화를 잘 보지 못하는 편이다. 왜냐하면 그런 영화를 보면 꼭 꿈에 나타나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내가 이 작품을 읽었다는 것은 아이러니하다. 하지만 이 작품은 충분히 읽을만한 가치가 있는 작품이다. 스티븐 킹의 전성기 시절의 작품이면서도 그의 놀랄만한 반영론적 관점을 엿볼 수 있기 때문이다. 굳이 제목 때문이라도 볼 수는 있겠지만 그 속에는 더 놀랄만한 이야기가 숨어있다.

스티븐 킹은 이 작품을 자신의 딸이 키우는 고양이의 죽음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고 할만큼 그는 자신의 가족을 정말로 소중하다고 생각하고 있나보다. 그래서 그의 작품들 중 주요작품들의 내용 중 일부는 가족을 죽이는 가족구성원의 이야기가 많다. <샤이닝>,<돌로레스 클레이븐>,<캐리> 등과 함께 이 작품도 포함될 수 있겠는데,이 작품은 다른 작품들과 달리 처음부터 중반까지는 아주 행복한 가족의 천진난만한 모습을 보여준다. 그러면서 점점 마지막에 가서야 공포의 실체를 보여준다. 나는 이 작품을 읽으면서 함정에 빠졌는데,스포일러가 될 수도 있겠지만 난폭한 고양이로 다시 돌아온다는 플롯은 스티븐 킹이 이야기를 더 충격적으로 몰아가기 위한 함정이었던 것 같다.(물론 나중에 이 고양이와 함께 아들이 살아나 사람을 죽이기도 하지만 그렇게 큰 역할은 하지 않는다.) 단지 그 고양이는 이 소설의 내용을 이어가게 만드는 소품이었던 것 같아서 약간 허전하긴 했지만 그래도 스티븐 킹의 필력이 대단하다는 것을 느꼈다.

이야기는 거의 후반부에 가서야 완전한 공포영화로 탈바꿈하는데,마치 공포영화처럼 스릴있고 손에 땀을 쥐게 하고,심장을 벌렁벌렁 뛰게 만들게 하는 마력이 있다. 마치 영화 컷처럼 넘어가는 문체가 그것이다. 그리고 초반부에 나오는 반 좀비 상태가 되어있는 시체 파스코의 처참한 묘사가 압권이다. 정말 이 작품은 늦은 밤에 봐야 위에 말한 이야기의 이해가 더 빠를 것이다.

아직 영화로는 보지 못해서 영화와는 비교할 수 없겠지만,영화 시나리오도 스티븐 킹이 직접 맡았다고 하니 원작과 영화와 거의 차이가 없을 것 같다. 하지만 그동안 만들어졌던 스티븐 킹의 영화를 본다면 나는 감히 스티븐 킹의 원작소설을 읽을 것을 추천하는 바이다.(하지만 공포소설을 제외한 일반 소설은 영화를 적극 추천한다.) 그래야 더 재미가 있다.(물론 내가 소설은 볼 수 있지만 영화는 무서워서 볼 수 없다는 이유도 있다.)

단,스티븐 킹의 이런 필체,즉 공간적인 서술과 함께 시간적인 서술과 심리적인 서술(예를 들면 주인공의 속마음이나 마음 속 누군가와 대화하는 장면의 서술 같은 것들)을 함께 쓰는 것을 싫어한다면 읽기 거북할 수도 있다. 루이스와 미라상태의 파스코와의 대화와 함께 루이스의 심리상태를 표현하는 부분도 중간중간 나오기 때문이다. 바로 그것이 스티븐 킹만의 독특한 문장법이자 공포소설에서 빠질 수 없는 문체이다.

2008/5/2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