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리로 다시 읽는 자본주의 세계사 - 자본주의는 어떻게 이동하며 세계의 미래를 바꿔왔는가?
이동민 지음 / 갈매나무 / 2025년 1월
평점 :
#지리로다시읽는자본주의세계사 #이동민 #갈매나무 #도서협찬
.
자본주의 역사에 대한 이해를 경제, 사회, 지리학을 바탕으로 설명하는 책이다. 나라별로 소개되어 있어서 호기심을 자극하는 나라부터 읽었다. 자본주의라고 하면 바로 떠오르는 나라는 미국, 그리고 주식거래소가 탄생했다는 뜻밖의 네덜란드, 공산주의 나라인 베트남의 친자본주의 경제정책에 관심이 갔다. 특히 가깝고 친근한 베트남에 대해서 모르는 것이 많았단 생각이 들었다.
베트남 경제는 순조롭게 성장곡선을 그리고 있다.남중국해와 태평양,믈라카해협을 통한 인도양으로 이어지는 유리한 지리적 입지와 저임금 노동력,아시아 6대 산유국 중 하나이고 석유와 천연가스,희토류 매장량이 세계2위, 세계 쌀 생산량의 20%를 차지하는 곡창지대에 수산물까지 풍부해 경제발전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하지만 기후위기와 단순 생산직 비효율적 교육체제가 장애물이 되고 있다. 앞으로 베트남이 어떤 돌파구를 찾아낼지 주목된다.
10장 대한민국 챕터는 읽을수록 뼈아프게 다가온다. 작금의 사태가 진정되고 나면 우리는 어떤 미래를 그리고 희망할 수 있을까?
📖1960년대 초반부터 1980년대 후반 군사정부가 주도했던 초고속 압축 경제성장에는 만만치 않은 부작용도 뒤따랐다.민주주의 후퇴야 말할 것도 없고, 경제적-사회적 불평등이 대거 양산되었다.군사정부의 경제정책은 표면상으로는 민간기업이 주도한 것처럼 보였지만,건전한 시장원리나 경제활동의 자유와는 거리가 멀었다.그 결과 정경유착과 부정부패가 한국 사회에 깊이 뿌리내린다.
📖현실세계의 신자유주의적인 사회적 공간적 차별이 온라인 공간에서 극단주의적인 사고방식의 정치세력화를 조장하고,이것이 현실 공간에서의 정치로까지 이어지는 악순환인 셈이다.
자본주의는 어떤 위기를 불러오는지, 역사적 사건들의 연결고리로 세계를 바라보는 넓은 시각을 주는 책이다.
#독서 #독서일기 #책소개 #서평단 #서포터즈 #신간추천 #자본주의 #세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