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는 먹지 않는 약
도리다마리 도루 지음, 이현욱 옮김, 장항석 감수 / 더난출판사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건강챙기는데 도움얻고자 하던 차에 이 책을 보게 되었다. 나 같은 경우 소설 같은 다른 분야 책들은 몰라도 건강관련 책들은 일본인이 쓴 서적을 관심있게 보는 편이다. 코로나때도 그 이전에서부터 일본인이 쓴 책을 보면 백신에 대한 위험성을 알렸을 뿐만 아니라, 자기의 신변에 위협이 될 가능성이 있음을 무릎쓰고 양심적으로 사람들에게 유익한 정보를 전달하려고 하는 책을 볼 수 있었다(물론 한국에서도 양심적인 의사들이 쓴 책들도 분명히 있다). 이 책은 어떤 내용으로 구성되었는지 궁금했다.




책을 보면 신약을 함부로 접종하거나 투여하지 말라고 조언하고 있다. 내가 병원에서 1년 동안 일한 적이 있었다. 병원에서 일하다보면 제약사나 의료회사 직원이 신약이나 새로운 의료물질을 소개하기 위해서 병원을 간간히 방문한 적이 있었는데, 그 때마다 우리 직원들은 원장님이 수술중이거나 외출중이시라고 말하고 방문한 직원들을 거의 되돌려 보내곤 했었다. 그게 원장님의 지시였다. 의료현장에서 안전하다고 직접 확인한 게 아니라면 부작용을 우려해서 함부로 쓸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도 안전성에 대한 내용이 나온다. 전문가 중에서 양심적이고 용기있는 사람이 아니라면 함부로 말하기도 어려운 발언들이다.




책에서는 치매약에 대해서 나오는데 모르는 정보를 알 수 있었다. 약성분 이름이 나오는데, 나 같은 경우 그런 약성분에 대해 자세히 알 수 없었고 생소한 용어들이 많았다. 이런 약성분명에 대한 설명이 따로 있다면 좋았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긴 한다. 그렇지만 해당 분야 약 성분의 부작용이 무엇인지 조금이라도 알 수 있어서 좋았다. 미디어에서는 신약이라고 해서 장점들만 알려주곤 하는데, 이 책에서는 신약의 이면에 대해서 알려주고 있어서 이런 점이 마음에 들었다. 용기가 없다면 이런 말을 꺼내기가 어렵다.


예전에 다녔던 내과에서 내과 원장님이 고령이 되셔서 스스로 은퇴하셨는데, 그 건물에 다른 내과가 들어왔다. 거기서 진료를 본 적이 있는데, 단순 감기 정도인데, 처방한 약의 개수가 5~7개 정도였던 걸로 기억한다. 예전 원장님한테서 보통 3알 정도를 처방받아 복용하고 그랬는데, 처방약의 수가 많아져서 이후 그 병원에 가지 않았다. 어느 정도 자각능력이 있는 사람이라면 이상한 낌새(?)를 눈치채고 그러할 텐데, 의료인에 전적으로 의지하는 사람이라면 무조건 그대로 믿고 따를 가능성이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은 대화형식으로 구성되었다. 인터뷰 대화형식을 보면서 한 눈에 딱 어떤 게 중요하다고 꼭 짚을 수는 없지만, 책 목차만 보더라도 어떤 걸 주의해야 하는지 대략적으로 알 수 있다. 이런 유익한 정보를 알 수 있어서 도움되었다.


서양인이 쓴 책 중에서 어린이를 대상으로 쓴 책이 있는데, 그런 책 내용 중에 백신접종이 옳은 것이라고 알리는 책이었다. 저자 얼굴이 어떤 사람인지 알 수 없는 그 책을 보면서 얼굴 모르는 저자의 무책임해보이는 주장에 법규(?)를 날린 적이 있다.


이 책 말고 다른 분야인 식품 첨가물 관련 책도 그렇고 어느 분야든지 이런 책들을 보면서 비판적 사고를 기르고, 이상한 건 따지고 보는 그런 습관과 사고방식을 가지면 좋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런 책들을 많이 보면 독서의 유익함을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