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청소년을 위한 사라진 스푼 - 주기율표에 얽힌 과학과 모험, 세계사 이야기
샘 킨 지음, 이충호 옮김 / 해나무 / 2022년 5월
평점 :
위험물기능사 실기 준비하려면 주기율표 공부해야 한다. 주기율표 공부하려던 차에 이 책을 보게 되었다. 청소년을 위한 책이라고 해서 “아! 이 책을 보게 된다면 주기율표를 금방 외울 수 있는 책인 건가?” 싶었다. 책 겉표지 하늘색 띠지를 보면, 나는 누군지도 모르는 어떤 사람이 강력추천한다고 해서 이 책이 정말로 주기율표 외우는데 괜찮은 책인 줄 알았다. 책미리보기 기능도 제대로 안 본 상태에서 이 책을 받아봤는데 막상 펼쳐보니까 거의 다 글이다. 글! “아! 뭐지? 나는 왜 이 책을 펼쳐봤을까?” 싶었다. 단기간에 자격증 준비하는 면에 있어서는 나 같은 경우 후회감도 더러 들었다. 그건 뭐 그렇다치고, 도대체 왜 세계가 극찬했는지 그 이유가 궁금해서 일단 본 김에 보기로 했다.
책을 보면 원소와 관련된 여러 이야기가 나온다. 머리말을 보면 저자가 화학에 대해서 거의 몰랐을 때 체온계 수은을 아무렇지 않게 다루었던 이야기가 나온다. 나도 대략이나마 상식적으로 수은이 유해한 걸 아는데... 저자가 현재는 해당 분야에서 잘 나가는 사람이라고 하지만, 그가 과거를 돌이켜보면 얼마나 마음이 아파할지 그런 생각이 들긴 했다. 측은한 생각이 들기도 했다.
머리말에서 본 것처럼 저자는 호기심이 많은 사람이고, 해당 원소에 대한 여러 이야기를 독자 입장에서 해줄 것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책을 보면 아연과 카드뮴에 관한 내용이 나오는데, 나는 카드뮴이 아연 부산물인 정도만 알고 있었는데, 이 책에서는 구체적인 내용을 알 수 있었다. 기억법에 관한 방법 중에 <일화기억>이라고 있는데, 이 책에 나온 내용은 일화기억을 중심으로 해당 원소에 관하여 더 길게 기억에 남지 않을까 싶다. 그래서 이 책을 세계가 극찬했다는 게 아닐까 싶다. 진정한 배움은 호기심으로부터 시작되는 게 아닐까 싶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 책은 단기간에 자격증 취득하기 위한 용도라기보다는 원소와 관련된 이야기를 알게 됨으로써, 해당 원소에 대해 이해하게 되고, 장기간 기억할 가능성이 있어 보이는 책이라고 평하고 싶다. 합격, 불합격으로 웃고 우는 게 아니라, 진정한 배움으로 더 재미있게 기억하는 것이 어쩌면 다른 배움에도 집중하는데 도움되리라고 본다.
편안하게 보면 좋을 것 같다.
<이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만 제공받았고, 제 나름대로 솔직하게 쓴 주관적인 평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