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임 시나리오 기획자의 생각법 - 14년차 기획자가 제시하는 직업 실전과 창작에 관한 조언
이진희 지음 / 들녘 / 2021년 6월
평점 :
조카의 꿈이 게임개발자인 터라 도움주고자 하던 차에 이 책을 보게 되었다. 조카 보여주기 위한 책이기도 하지만 어떻게 상상 속 생각을 기획하는지도 궁금했다.
그런데 이 책을 펼쳐보면 초등생에게 언급하면 민망한 단어가 나오는 게, 이 책은 중고등생 이상이 보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니면 일부 단어를 배제하거나 해당 문장을 다듬어서 초등생도 볼 수 있게 하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성인인 나도 잘 안 하려고 하는 욕이 나와서 좀 그랬다. 그렇지만 내용은 독자마다 평이 다를 수도 있겠지만, 내 개인적인 입장에서는 전체적으로 봤을 때 나름대로 볼만했다. 책에 나온 예는 시나리오를 기획하려는 사람들에게 도움될 것으로 보였다.
처음에는 단어들로 인해 당황스러운 면이 있었지만, 계속 읽을수록 저자의 글은 게임 시나리오 업계가 어떠한지 그 현실을 말해주고 있다. 만약 게임시나리오 기획자가 되고픈 사람들에게 있어서는 이 세계에 대한 환상과 기대를 버리고, 현실적으로 발생하는 일들에 대해서 알 수 있을 것이고, 이 업계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는 등 적잖은 도움을 얻을 수 있으리라고 본다. 나 같은 경우에는 이 직업이 어떠한지 몰랐는데 이 책을 통해 이 세계가 어떠한지 조금이나마 알 수 있었다. 내가 무언가를 알고 있어야지 다른 누군가에게 내가 아는 것을 전달해줄 수도 있는 건데, 조카에게 게임시나리오 작가의 세계가 어떠한지 조금이나마 알려줄 수 있을 것 같아서 좋았다. 어떤 걸 시작하려는 데 있어서 기대가 생겨서 그걸 시도하는 경우가 있기도 한데, 하지만 오랜 기간 동안 준비를 해왔는데, 만약 자기가 기대한 것과 너무나 다르다면, 그 오랜 시간동안 준비해왔던 수고와 노력이 헛된 것처럼 느껴질 수도 있다. 그러하니 애초부터 현실적으로 어떠한 것인지도 알아보고 준비하는 것이 오히려 허망함을 덜 느끼는데 도움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책을 읽다보면 현실적인 조언을 충분히 얻을 수 있으리라고 본다.
<이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만 제공받았고, 제 나름대로 솔직하게 쓴 주관적인 평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