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코로나19, 걸리면 진짜 안 돼? - 응급의학과 의사의 선별진료소 1년 이야기
서주현 지음 / 아침사과 / 2021년 6월
평점 :
코로나19로 전세계가 고통을 겪고 있는 가운데, 한국도 예외가 아니다. 우리 인생도 예외가 아니다. 일상생활하는데 도움얻고자 하던 차에 이 책을 보게 되었다. 이 책은 코로나19로 고통받고 있는 현장에서 일하는 전문의가 쓴 책이다. 코로나19에 대한 말이 많은데 현장의 상황은 어떠하고 어떻게 하면 코로나19에 대응할 수 있는지 더 잘 알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독자마다 다를 수 있겠지만, “우왕! 따봉!” 이라는 말이 튀어나왔다. 사람은 자기가 보고 싶은 대로 보려고 한다는 말도 있지만, 나의 논리력이 그렇게 뛰어나지도 않고 수학도 잘하는 편은 아니지만, 암만 이래저래 경우 바꿔가면서 따져 봐도 말이 참 안 되는 부분들이 많았다. 그런 부분들을 이 책이 짚어주었다.
나와 친분 없는 화가인 뭉크의 <절규>를 패러디(?)한 앞표지는 선정을 잘 한 것 같다. 나 같은 경우 중학교 미술시간에 뭉크의 절규를 모방해서 환경오염 그림을 그렸고, 학교축제 때 전시했던 적은 있었다. 미술쌤께서 작품전시한 학생들 모두 상 준다고 말씀하셨는데, 상 못 받았고 전시한 그림도 되돌려 받지 못했다. 미술상은 받아본 적이 한 번도 없던 터라, 몹시 받고 싶었던 상이었는데, 당시만 해도 수줍음 많고 내성적이었던 터라 아무 말도 못 꺼냈다. 절규 얘기하니까 별 일화가 다나온다. 그렇고 여하튼 이 책을 읽은 독자마다 다를 수 있겠지만, 흡입력이 있는 것 같다. 조금만 읽다가 나중에 또 읽으려고 했는데, 그 다음 얘기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해진다. 흥미 있는 소설책을 보는 듯한 느낌이랄까 필력이 뛰어난 편이라고 평하고 싶다.
이 책을 읽고 나면 코로나19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은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나 역시 초반에는 코로나19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이 있었는데, 1년 6개월 넘게 만원 버tm로 출퇴근 하는 사람들을 보면서 내 생각에 일부 변화가 생겼다. 좀 엉뚱한 얘기지만, 커플들은 같은 지역에 사는 사람들일 줄 알았는데, 나는 시외버스를 타면서 서울과 지방, 또는 타지역인 사람들끼리 만나서 커플관계를 유지하기도 한다는 걸 그 현장들을 보면서 알게 됐다. 쉽게 빨리빨리 못 본다는 단점도 있겠지만, 나중에 헤어지면 그만큼 서로 안 마주칠 가능성도 높다보니까 타지역연애가 때로는 이로울 수도 있는 것 같기도 하다. 내가 좀 엉뚱한 말들을 꺼내긴 한다.
어쨌든 간에 어떤 유행병이 돌던지 간에 평소에도 면역력 관리를 잘 했으면 좋겠다. 나는 면역력 강화에 좋으면서 부작용이 적어보이는 음식을 찾아먹곤 한다. 나 같은 경우 요즘에는 혈액순환 잘 되는 음식 위주로 찾아먹곤 한다. 막연한 두려움에서 벗어나고 싶다면 이 책을 한 번 읽어보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보건의료분야에서 나보다 훨씬 유식하고 전문적이고 책상이 아닌 현장에 있는 저자의 글을 보게 되어서 코로나19를 바라보는데 많이 도움 되었다.
<이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만 제공받았고, 제 나름대로 솔직하게 쓴 주관적인 평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