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까운 사람이 경계성 성격 장애일 때 - 다정하고 단호하게 나를 지키고 그를 돕는 법
우도 라우흐플라이슈 지음, 장혜경 옮김 / 심심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은 태어난 본연의 성격도 있지만, 갑자기 겪게 된 사건이나 열악한 환경으로 생긴 트라우마로 성격에 변화가 생길 수도 있다. 사람은 사람을 잘 만나야 하는 법인 터라, 사람을 대하는데 도움얻고자 하던 차에 이 책을 보게 되었다.  


사실 사람을 대하는데 도움얻고자 한다고 했으나, 살면서 열악해지는 환경에 내 성격도 극도로 민감해질 수 있는 터라 결국 나를 위해서 이 책을 본 것이나 다름없다.


책을 보다보면 출판사마다 어떤 부류의 책이 나오고, 독자 나름대로 어느 출판사별로 어떤 이미지를 갖게 되는데, 심심 출판사인 경우 나 같은 경우 심리 관련 책 위주로 본 경우가 많았다. 그래서 나 같은 경우에는 내 개인적으로 심심출판사의 책은 “심심(心心) 시리즈”라고 칭하기도 하는데, 이번에 내가 본 책은 경계성 장애를 다룬 책이다.


책을 보면 여러 사례에 대해서 나오고 각 장이 끝날 때마다 <요점정리>가 나온다. 나 같은 경우 요점정리 해주는 그런 책을 선호하는 편인데, 다행히 이런 부분이 있어서 마음에 들었다.


책을 보다보면 요점정리에서 경계성 장애 환자는 완벽한 일심동체를 요구한다고 나와 있다. 예전에 내가 듣던 말로는 “부부는 일심동체(一心同體)”라는 말이 있었다. 이 말에 대해 다양한 해석이 있을 수 있겠다. 유대를 강화하고, 부부간에 화합을 추구하는 말로 여겨질 수도 있겠다. 어쩌면 공감하고 아픔을 함께하자는 말로 해석될 수도 있겠다. 그렇지만 타고난 성격도 자란 환경도 다른 상황에서 일심동체라는 말은, 오히려 이상을 너무 강요하는 말이 될 수도 있겠다. 병아리를 길러본 사람이라면 알겠지만, 병아리들도 보면 저마다 개성이 있다. 어떤 녀석은 사람과 비슷하게 모이를 먹다가도 다른 데를 어슬렁어슬렁 둘러보다가 다시 모이를 먹는 녀석도 있다. 다르다는 것을 인정할 때 갈등은 어느 정도 줄어들 수 있다.


책은 모든 장이 끝나면 <다시 한 번 요점정리>라고 해서, 전체적인 내용을 요점정리 해주는 부분이 있다. 이런 식의 구성방식은 내 개인적으로 선호하는 편이라서 마음에 들었다.


경계성 장애를 지닌 환자가 보이는 모습과 주변인들이 이 사람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 살펴볼 수 있어서 좋다. 경계성장애를 지닌 원인은 다양하겠지만, 책 속에 나온 내용을 살펴보면서 환자 뿐만 아니라 주변인들의 안녕을 챙기는데 도움될 것으로 보인다.



<이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만 제공받았고, 제 나름대로 솔직하게 쓴 주관적인 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