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 다 예쁜 말들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79
코맥 매카시 지음, 김시현 옮김 / 민음사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튼 고통이 불꽃처럼 타올랐다. 세상의 고통이란 형태 없는 기생충 같은 존재가 알을 깔 따스한 인간의 영혼을 찾아다니는것이라는 상상을 하며, 무엇으로 인해 사람이 그런 존재에게무방비 상태가 되는지 알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 존재에게는 마음이 없으니 영혼의 한계를 알 길이 없다는 것을 몰랐던 그는 영혼에 한계가 없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두려움에 떨었다. - P37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두 다 예쁜 말들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79
코맥 매카시 지음, 김시현 옮김 / 민음사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너를 버리지 않고, 너도 나를 버리지 않아. 그런 일은있을 수도 없지. - P118

그의 손 아래에서 세상모든 것이 팽팽하게 긴장하여 바들바들 떨며, 살아 있는 양벌컥벌컥 움직였다. - P177

그녀는 그를 유심히 뜯어보았지만, 그 눈길에서 다정함이묻어났다. 그녀가 미소 지었다. 흉터에는 신기한 힘이 있지. 과거가 진짜 있었던 일이라는 것을 일깨워 주거든. 흉터를 얻게된 사연은 결코 잊을 수 없지. 안 그런가? - P199

그 애를 보면 그 나이 때의 내가 생각나 때로는 나 자신의 과거와 씨름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싶을 정도지. - P199

이건 옳고 그르고의 문제가 아니야. 명심하게나. 이건 누가 말해야 하는가의 문제야. - P202

해가 지자 빛이 곤란을 겪었다. 발 아래 메마른에 펼쳐진 검은 비취 모양의 라구니야스(늪지대)는 마치 또 l른 하늘을 꿰뚫고 있는 귀걸이 같았다. 서쪽에서 층층이 at hell두른 색깔들은 망치로 두들겨 맞은 구름아래에서 피를 흘렸다. 순식간에 보랏빛이 온 땅을 감싸 안았다. - P202

그녀에게 아무 말도하지 마라. 아무 말도. 그러곤 그에게로 얼굴을 돌렸다. 시간과육체를 훔치는 것이기에 더욱 달콤하였으며 믿음을 저버리는것이기에 더욱 감미로웠다. - P208

나는 여전히 너와 함께 강을 건넜던 바로 그 친구야.
과거의 나는 현재의 나이고, 내가 할 수 있는 거라곤 계속 가는 것뿐이야. 결코 여기서 죽을 일은 없다고 너한테 약속한 적도 없고, 너한테 그런 약속을 요구하지도 않았어. 상황이 괜찮을 때까지만 여행을 계속하겠다고 계약한 것도 아니잖아? 네가 계속 가든 그만두든 네 마음이야. 네가 무슨 짓을 하든 난널 버리지 않아. 내가 말할 수 있는 건 이것뿐이야. - P229

진실은 하나뿐입니다. 진실은 실제로 일어난 일이지 누군가의 입에서 나오는 것이 아닙니다. - P247

사람도 마찬가지야. 사람 안에 악한 면이 있을 수는 있네.
하지만 그건 그 사람의 악이 아니야. 어디서 악을 구하겠나?
대체 무슨 수로 그게 자기 것이라고 주장할 수 있겠나? 말도안 되지. 멕시코에서 악은 실재하는 존재야. 제발로 걸어 다니지. 언젠가는 자네한테도 찾아올 거야. 아니, 벌써 찾아왔는지도 모르지. - P284

사람이 가질 수 있는 가장 강한 유대감은 슬픔의 유대감이며, 가장 견고한 단체는 비통의 단체이지. - P347

역사에는 대조군이 없어. 달리 이랬을 수도 있다고 아무도 말할 수없는 거지. 그저 이랬을 수도 있는데라고 한탄할 뿐, 그것을 현실로 만들 수는 없어. 역사를 모르면 같은 실수를 되풀이한다고들 말하지. 하지만 역사를 안다고 해서 실수를 피할 수 있다고는 생각 안 해. 탐욕과 어리석음과 피에 대한 욕망은 역사에서 끊임없이 반복되네. 심지어 모든 것을 안다는 신마저도 세싱을 바꿀 힘은 없는 게 아닌가 싶어 - P34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선량한 사람들은 비윤리적인 행위를 대리인에게 위임한 뒤 책임을 편리하게 회피한다. 더러운 일을 떠맡은사람들은 무슨 불량배가 아니라 사회로부터 ‘무의식적 위임‘을 받은 이들이다. - P18

모든 문제에 대해 우리가 내린 결정의 산물이다. 우리가 더티워크를 어떻게 생각하느냐가 우리 사회의 근간을 드러낸다. 우리의 가치관이 무엇인지, 우리가 어떤 사회질서를 무의식적으로 승인하는지, 그리고 우리가 타인에게 어떤 일을 시키고 있는지를 드러낸다. - P3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랑스혁명사
알베르 소불 지음, 최갑수 옮김 / 교양인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따라서 공포 정치는 본질적으로 반란자와 반역자들로부터 국민과혁명을 지키려는 방어수단이었다. 공포정치를 단지 한 측면으로 갖는 내전(內戰)의 경우처럼,공포정치는 특권적이거나 특권계급과 운명을 같이한다는 이유로 사회적으로 동화될 수 없는 구성 요소를 국민으로부터 잘라내는 역할을 했다. 공포정치를 통해 ‘강제력‘을 부여받은정부의 양 위원회는 국가의 권위를 회복하고 공공 안전의 규준을 모든사람에게 부과할 수 있었다. 또한 공포 정치는 한동안 계급적 이기주의를 침묵시킴으로써 국민적 유대감을 북돋우는 데 이바지하였다. 특히 전쟁을 수행하고 국가의 안전을 도모하는 데 꼭 필요한 통제 경제가 공포 정치 덕분에 실행될 수 있었다. 이런 의미에서 공포 정치는 승리의 한 요인이었다.
—- ???????? - P45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지막으로 부르주아지는 민주주의와는 거리가 멀었다. 그들은 근본적으로 사회 계서제를 유지하여 자신들보다 아래에 있는 계급과 분명하게 구별되기를 바랐다. 앙투안오귀스탱 쿠르노(Antoine-AugustinCournot)의 《회고록(Souvenirs)》에 따르면, "부르주아 사회에서 서열만큼 두드러진 것은 없었다. 대소인이나 공증인의 부인들은 그냥 ‘마드무아젤‘이라 불렸으나, 국무참사의 부인은 아무런 이의 없이 ‘마담‘으로 호칭되었다."
민중계급에 대한 부르주아지의 경멸은 평민에 대한 귀족의 경과다르지 않았다. 특권계급에 대항하여 민중계급의 지지를 호소하였던부르주아지가, 혁명력 2년에 민중계급이 권력을 요구하였을 때 왜 분노와 공포를 느꼈는지는 바로 이러한 계급적 편견을 고려해보면 납득된다 - P89

"집단들은 악착스럽고 완고한 데다, 스스로 고립된 채 정치 기구와 관계를 맺는 데만 몰두하려고 한다. 오늘날 모든 집단들은 자신들의 구성원이 당하는 불의(不義)만 의식할 뿐, 자신의 계급에 속하지 않는 시민에 대한 압제는 자신들의 이해관계와 무관한 것으로 여긴다." - P13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