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도 사실인걸요. 아빠는 뭐든지 하느님께서 주신거라고 하셨어요. 엄마도 그러시잖아요. 하지만 하느님은 유럽에서 유대인들이 죽임을 당하는 걸 그냥 내버려 두셨는데 미국에선 유대인들이 몰살당하지 않도록 막아주실 거라고 믿을 이유가 있을까요? 하느님은 관심도 없어요. 하느님은 그런 분이라고요." (p.48)



그의 상념은 언제나 똑같은 결론에 이르렀다. 즉 하느님은
- 또는 어떤 존재이든 간에 - 분명히 지혜롭지만 그가 자비롭다는 증거는 어디에도 없다는 것이었다. 만약 천상의 위계질서 속에 자비의 하느님이 정말 존재한다면 그는 아마도 무력하고 별 볼일없는 하위신(下位神)에 불과할 것이다.
말하자면 천상의 나치들 틈에 간신히 끼어있는 천상의 유대인이라고나 할까. 그러므로 이 세상을 떠나버릴 용기조차 없는 사람은 그저 립스크의 다락이나 시프라 푸아의 작은 골방 따위에 숨어들어 술이나 아편에 의지하며 그냥저냥 살아갈 뿐이다. (p.137)

독일은 물론이고 미국에서도 신나치 정당들이 결성되고 있었다. 공산주의자들은 레닌과 스탈린의 이름으로 늙은 교사들을 고문했고 중국에서는 <문화혁명>이라는 미명하에 마을전체를 말살해 버리기도 했다. 뮌헨의 술집에서는 아이들의 두개골을 가지고 공놀이를 하던 자들이 큼직한 잔으로 맥주를 마시고 교회에 가서 찬송가를 불렀다. 모스크바에서는 유대인 작가들을 숙청해 버렸다. 그런데도 뉴욕, 파리, 부에노스아이레스 등지의 유대인 공산주의자들은 오히려 살인자들을 찬양하고 어제의 지도자들을 비난했다. 진실? 이 정글엔 없다. 뜨거운 용암 위에 떠 있는 이 지구라는 이름의 접시위에 진리 따위는 존재하지 않는다. 하느님? 누구의 하느님이란 말이냐? 유대인들의? 파라오의? (p.27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유
조너선 프랜즌 지음, 홍지수 옮김 / 은행나무 / 201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패티도 어느 정도 알고 있었기에 (세상을 위해 좋은 일을 하려면 집에 있는 가족이 어떤 희생을 치러야 하는지 잘 알고 있었다.) 큰 감동을 받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상당히 감동을 받았고, 월터 생각을 떨칠 수 없었다. 패티는 멸종 위기에 처한 생물을 보호하기 위해 헌신적으로 일하는 그를 힘들게 한 것을 뼈저리게 후회했다. 패티가 그런 행동을 한 건 부러웠기 때문이다. 월터의 순수한 사랑을 받는 새들이 부러웠고, 그런 새들을 사랑할 수 있는 그의 능력이 부러웠다. 패티는 당장 월터에게 달려가, 그가 아직 살아 있을때 그냥 다짜고짜 이렇게 말하고 싶었다. ‘난 당신이 선하기 때문에 당신을 흠모해.‘ (p.67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유
조너선 프랜즌 지음, 홍지수 옮김 / 은행나무 / 201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불쌍한 패티, 승부욕이 강하지만 패배한 패티. 워싱턴에서 보람있는 일이라고는 아무것도 하지 않고 있는 패티는 월터가 랄리사를 흠모하는 걸 눈치채지 않을 수 없었다. 월터는 패티 때문에, 자신이 랄리사를 사랑한다는 사실을 행동에 옮기기는 커녕 생각조차 하지 않으려 했다. 그가 단순히 혼인법을 곧이곧대로 실천하려는 건 아니었다. 월터는 자신이 패티보다 더 좋다고 여기는 여자가 있다는 사실을 절대 그녀가 알게 할 수 없었다. 랄리사가 패티보다 더 좋았다. 이건 엄연한 사실이었다. 하지만 월터는 죽으면 죽었지, 이 명백한 사실을 패티에게 말할 수 없었다. 그가 아무리 랄리사를 사랑한다 해도, 패티와의 결혼생활이 아무리 못 견디게 힘들어도, 패티에 대한 월터의 사랑은 차원이 달랐다. 보다 폭넓고 보다 추상적이지만, 그럼에도 평생 책임을 져야한다는 근본적 차원의 사랑이었다. 선한 사람이어야 한다는 근본적인 이유에서였다. 월터가 랄리사를 말 그대로 그리고/혹은 은유적 표현을 써서 해고한다면, 랄리사는 몇 달은 울겠지만 다시 자기 인생을 살면서 누군가를 만나고좋은 일을 할 거다. 하지만 패티는, 요즘들어 점점 그에게 잔인하게 굴고 그의 손길을 피했지만, 여전히 월터가 자기를 우러러보기를 바랐다. 월터도 그 사실을 알고 있었다. 안 그랬으면 패티가 왜 아직도 그의 곁에 있겠는가. 그는 아주 잘 알고 있었다. 패티의 마음 한가운데 공허함이 있었고, 그 빈자리를 최선을 다해 사랑으로 채워주는 것이 그의 몫이었다. 그녀 안에서 꺼져가는 희망의 불꽃을 지켜줄 수 있는 사람은 월터뿐이었다. 그래서 그가 처한 상황이 이미 어쩔 수 없고, 매일 악화되고 있지만 월터는 계속버틸 수밖에 없었다. (p. 400~40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유
조너선 프랜즌 지음, 홍지수 옮김 / 은행나무 / 201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월터와 마찬가지로 도로시도 늘 패티의 장점만 보았고, 패티는 도로시처럼 인자하고 너그러운 사람도 ‘인간은 홀로 죽는다‘는 법칙에서 예외가 될 수 없다는 것이 유감 스러웠다. 결코 인간의 선함에 대한 믿음을 포기하지 않은 도로시도 홀로 죽음의 문턱을 넘어야 한다는 사실이 패티의 마음을 아프게 했다.
(p.19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유
조너선 프랜즌 지음, 홍지수 옮김 / 은행나무 / 201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살면서 친구가 있다는 건 좋은거야. 친구를 얻으려면 세상에 완벽한 사람은 없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p.18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