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의 배신 - 왜 하버드생은 바보가 되었나
윌리엄 데레저위츠 지음, 김선희 옮김 / 다른 / 2015년 5월
평점 :
절판


대학교육 등 고등교육에 관심 있는 분들에게 일독을 권한다. 그런데 불만인 건 제목. 왜 공부의 배신인가? 대학의 배신이지 -_- 절대, 결코, 공부는 배신하지 않는다. 다만 공부를 상업적으로 이용하고 상품가치로 환산하는 못된 대학들의 술수가 문제인 거다. 그런 면에서 제목이 배신이었던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호모 루덴스 - 놀이하는 인간
요한 하위징아 지음, 이종인 옮김 / 연암서가 / 2010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그만 좀 놀고 공부해! 라고 말하는 분이 주변에 있다면 이 책을 부적처럼 꺼내 들기를. 요한 하위징아는 `놀이`가 예술과 종교, 문명과 인류의 발자취를 따라 얼마나 고급진 문화였는지를 이웃집 할아버지처럼 조곤조곤 들려준다. 아, 나도 제대로 놀 줄 아는 호모루덴스가 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류지향 - 배움을 흥정하는 아이들, 일에서 도피하는 청년들 성장 거부 세대에 대한 사회학적 통찰
우치다 타츠루 지음, 김경옥 옮김 / 민들레 / 201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의 주장 중 다소 과격한 부분이 있지만, 사실 그 주장보다 더 과격한 것이 일본의 현실이고 그보다 더 막장(?)으로 치닫고 있는 것이 한국 사회가 아닐까? 가까운 일본 사회에 비춰 우리나라의 현실을 돌아볼 수 있었던 책. 그만큼 아프고, 찔리고, 속상했지만 그래도 반면교사 해야겠다는 다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불확정성 - 양자물리학 혁명의 연대기
데이비드 린들리 지음, 박배식 옮김 / 시스테마 / 2009년 3월
평점 :
절판


아는 자는 좋아하는 자만 못하고, 좋아하는 자는 즐기는 자만 못하다는 공자의 말씀을 여실히 드러내는 사람이 여기 있다. 양자 물리학의 태동부터 정착하기까지, 과학계의 골리앗들을 이기고 당당히 우뚝 선 사람들의 즐거운 발걸음이 과학책이 아닌 한 편의 소설처럼 읽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더 많이 공부하면 더 많이 벌게 될까 - 지식경제의 불편한 진실
필립 브라운 외 지음, 이혜진 외 옮김 / 개마고원 / 2013년 9월
평점 :
절판


박사과정에 재학 중인 나는 이 책을 읽으며 뜨끔했다. 더 많이 벌기 위해서 학위 과정을 하러 온 건 아니었지만;; 은연 중 나도 그걸 기대했었나 보다. 이 책을 읽고 말끔히 포기했다. 더 많이 공부하면 더 많이 버는 세상은 이제 기대하기 힘들다. 그저 공부가 즐거워서 공부할 것을 깨닫게 해 준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