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라는 직업 - 내 일과 삶을 경영하는 직장생활 공략집
남궁훈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 남궁훈

한게임 창업 멤버,NHN 한국 게임 총괄 역임

CJ인터넷, 위메디으 대표이사 역임

게임인재단 설립

현재 카카오 미래이니셔티브센터 상근 고문

CEO라는 직업

저자는 IT 업계에 발군의 인재이다.

저자가 몸 담았다고 쓴 기업들을 모두 내가 아는 곳이다.

프롤로그에도 자신을 대한민국 IT업의 역사와 함께 했다고 밝힌다.

저자는 한 회사의 CEO의 입장에서 이야기 하고 있다.

저자는 자신이 걸어온 대한민국 IT업계의 이야기를 풀어낸다.

게임업계에 대한 이야기인데 그 옛날 E스포츠 1세대인 내게는 익숙한 이야기이다.

나는 소시민으로 게임을 즐겼었다.

전공 덕택에 나는 컴퓨터를 매일 접해야했고,

성별을 따지지 않고 시간 투자한 만큼 성과가 나오던게 게임이었다.

지금 생각해보면 전화선을 사용한 게임을 하기 위해 꽤 긴 시간을 투자하고 또 자주 먹통이 되는 환경에서도 꽤 재미있게 몰입했던 것 같다. 결국 재미였다.

이런 경험이 지금 학생들과 소통하는데 도움이 된다.

게임을 무조건 나쁘다고 생각하는 학부모님들을 변화시킬 수는 없지만,

혹시라도 게임 중독이 두렵지만 그만 둘 수는 없는 학생들에게 부모님의 입장과 너희의 입장이 충돌하는 지점에 대해 가끔 이야기해준다. 물론 그들이 모르지는 않지만, 게임을 이유로 부모님께 혼날 때 한 번쯤은 내가 한 이야기를 떠올기를 기대한다.

IT분야처럼 그 얼굴이 계속 변한 분야가 또 있을까?!

전공을 이쪽으로 택한 사람들은 어쩔 수 없이 변화의 시류 중심에 서게 되지만, 또한 계속 발전하지 않으면 안된다.

저자는 미래를 내다보는 혜안을 가지고 문제를 재정의하고 변화에 대비하라고 조언한다.

요즘 교육에서 게이미피케이션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한다.

이를 반영한 교육용 콘텐츠가 많지만 대부분 저학년용이 많아 사실상 그 효과를 기대하기는 힘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게이미피케이션에 주목해야할 것은 확실히 학생들의 주의 집중을 끌수 있는 아주 좋은 방안이기 때문이다. 평소 게임을 하는 학생들은 공부가 아닌 게임으로 콘텐츠를 대하고 순위 혹은 점수 경쟁에 열을 올리기도 한다. 이러한 변화를 교육계에서 유연하게 받아들여 다양한 교과에서 다양한 수준의 교육용 콘텐츠를 개발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저자도 이제 교육과 게임이 대립적인 관계가 아니라 필수라고 말한다.

3D, IoT, 게이미피케이션으로 이어질 미래 기술의 핵심이 될 것이라 말한다. 이미 그렇게 흘러가고 있는 것 처럼 보인다. 아이들에게 이러한 세계로 인도해줄 어른들의 인식 변화와 교육이 필요하는 의견에 공감한다.

이후 자신의 경험을 회사 경영에 녹여 낸 이야기들이 나온다.

경험에서 교훈을 얻고 깨달은 것을 경영에 적용시켜온 저자야 말로 CEO마인드 장착 인간형일것이다.

우물안 개구리로 사는 것은 너무도 지루한 일이다.

그리고 책으로나마 들여다 보는 나와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는 또한 흥미롭다.

내용이 다소 어렵고 전문적일 것으로 예상되어 긴장했는데 쉽고 간결한 문체 덕분에 더욱 몰입하면 읽을 수 있었다.

CEO와의 접점이 조금도 없음에도 이번 독서를 통해 나 또한 삶의 지혜를 얻는다.

CEO라는 직업 추천 ★★★★★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