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를 품은 수학, 수학을 품은 역사 - 인류의 역사에 스며든 수학적 통찰의 힘 내 인생에 지혜를 더하는 시간, 인생명강 시리즈 4
김민형 지음 / 21세기북스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 김민형

한국인 최초 옥스퍼드대학교 수학교 교수,

세계 최초로 영국 워릭대학교 '수학 대중화 석좌교수' 역임.

수학자인 저자가 전공분야가 아닌 내용을 책으로 출판하기로한 이유는,

역사와 문학의 틀 속에서 수학을 논함으로 딱딱할 수 있는 내용을 부드럽게 만들 수 있으리라는 기대,

자자의 부족한 지식으로도 전문가들이 관심을 가질 만한 질문 몇 개는 던질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무리한) 기대.라고 한다.

출판을 준비하며 저자 자신에게 아주 재미있는 교육적 경험이었다고 한다.

앎의 즐거움!! 깨달음의 즐거움 나 또한 최근 경험한 바 있다.

앎과 깨달음을 구하고자 스스로 노력하는 시간이 지난할지라도 결국 알게되고 깨닫게 된다면 노력의 순간들은 빛이 난다.

이런 앎의 즐거움을 구하고자 저자는 책을 출판한 것이다.

수학자가 쓴 역사 이야기, 읽어 보았다.

피타고라스

저자가 선택한 첫번째 수학자!

피타고라스의 정리로 유명한 수학자이다.

각삼각형에서 직각을 낀 두 변의 길이를 각각 a, b라 하고, 빗변의 길이를 c라 하면 a+b=c이 성립한다.

그런 그가 팔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같은 철학자들에게 엄청난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

그리고 다양한 고전에서 그의 종교 지도자의 모습으로 묘사한다고 한다.

무엇보다 저자가 그에게 마음이 동動한 것은 배우기 위해 넓은 세상으로 향했단 사실일 것 같다.

지방 출신인 나는 수도권에서 살게 되면서 TV속에서 보던 서울의 모습을 직접 접하고 우물 안 개구리를 바로 나를 가리키는 말인 걸 알았다.

그저 직접 보는 것만으로도 세상은 넓구나 하는 걸 깨달았으니 말이다.

책을 읽으며 나의 견문이 좁다는 걸 다시 한번 깨달았다.(무지한 나...)

피타고라스가 '화음이론'을 발견했다고 한다. 알고자하는 의지와 노력의 발견이라할 것이다.

나는 어떤 의지로 살고 있나 생각해보게 된다.

소르 후아나

우주를 책처럼 읽던 천재 시인

세살 즈음 라틴어를 읽고, 다섯살이 되면서 집안의 회계를 보았으며, 여덟 살에 시를 쓰기 시작했고, 청년기가 되면서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을 통달했다고 한다.

천재다.

17C 결혼을 피해 수녀가 되었다고 추측된다. 홀로 자신을 키운 어머니를 보며 무언가를 깨달은 것일까 수녀가 된 이후로 지식적 교류를 자유롭게 이어갔다고 한다.

한 대학의 교수는 그녀의 시의 구심점을 앎에 대한 의지, 앎의 주체가 되고자 하는 열망이라고 말한다.

여기서도 배움에 대한 욕구 가득한 인물이 등장한다.

시대적 배경이 여성인 후아나에게 지식적 견해를 드러내는데 그다지 호의적이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그녀가 남긴 수 많은 글에서 그녀의 천재성을 발견할 수 있다.

그렇기에 저자는 그녀가 남긴 글들 중 '첫번째 꿈'과 '소르 필로테아 데 라 크루승게 보내는 답변'을 꼭 읽어 보라고 권한다.

이 책은 전문적인 내용을 다수 포함하고 있다.

그 내용을 다 이해하기에는 힘들지만, 배경 지식과 함께 읽고 또 야사를 읽는 기분이 든다.

재미있단 뜻이다.

지적 호기심과 재미 요소를 갖춘 역사와 수학 이야기

역사를 품은 수학, 수학을 품은 역사 추천★★★★★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무상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