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첫 메타버스 수업
이재원 지음 / 메이트북스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은이 이재원

경제지 기자.

유튜브 채널 티타임즈 TV 운영

메타버스 산업 등 세상의 변화를 소개하는 콘텐츠 생산 중...


유튜브 채널 티타임즈 TV 바로가기


작년 말 부터 올해 초까지 너무도 재미있게 공부한 프로그램이 하나 있다.

바로 '코스페이시스'

가상 현실을 만드는 코딩 프로그램이다.

텍스트 코딩 뿐 아니라 블록 코딩이란 점이 초등학생도 배울 수 있겠다 싶었다.

실제로 너무 재미있었다.

다만, 아직 우리나라에 제대로된 책이 없어 영어를 해석하며 공부했던 기억이 있다.

그러다가 올해 초부터 자꾸 들려오는 '메타버스'...

자세히 알아볼 생각은 하지 않고, 무슨 'bus'라 생각했는데

그 단어의 뜻을 얼마 전에 찾아보게 되었다.

그런데 메타버스를 정의하는 내용들이 다르다.

그래서 '가상 현실'쯤으로 이해하고 있다.

그런데 책의 첫 부분에서 이에 대해 이야기 한다.

메타버스에 대한 정의가 아직은 모호하다고...

'메타버스'는 '현실과 가장의 경계가 희미해진 세계 혹은 공간'이다.

다양한 시선으로 '메타버스'를 재정의하면, '실감기술을 매개로 물리적 실재와 가상의 공간이 결합해 만들어진 새로운 세계'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메타버스의 3요소는 '현실', '가상', '실감기술' 이다.

이는 보통 게임과 연결하기 쉽다.

시중에 나온 VR헤드셋으로 게임을 해보니 너무 재밌었던 기억이 있다.

그러나 단순히 게임이라 말하기엔 너무 부족하다.

저자는 메타버스를 증강현실, 라이프로깅, 거울세계, 가상세계의 네 유형으로 설명한다.

이 중 '라이프로깅'이란 용어가 생소했는데, 2000년대 말부터 각광받는 운동앱이 그것이다.

내가 달린 거리와 코스를 지도 위에 표시해주고 속도도 표시해준다.

내가 가진 갤럭시 와치가 그 역할을 하는 매개라 할 수 있겠다.

단순히 기록이 목표가 아니라 기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새로운 비즈니스가 창출된다.

운동 데이터가 맞춤형 피트니스를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기업들이 눈독들일만하군.

이 외에도 저자는 메타버스의 세계관과 메타버스의 요소인 '실감기술'등의 관련 기술, 메타버스의 다양한 플랫폼을 소개하고 설명한다.

'웰빙' 열풍이 지나간 뒤 단어는 더 이상 들리지 않지만, 건강한 음식과 삶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웰빙'이란 단어 없이도 관련 시장이 끊임없이 성장하듯, 메타버스도 지금은 특별한 서비스, 눈에 띄는 기술이지만, 우리 생활 전반에 스며들고 나면 단어 자체는 사라지고 우리 삶속에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것이라 한다.

코로나 팬데믹이 길어지면서 메타버스는 그 영향력을 더 넓혀가고 있다.

그러한 시류에 편승하기 위해 메타버스라는 단순하지 않지만 필수가 될 이념을 한 번쯤 알아보고자 한다면,

이 책 '나의 첫 메타버스 수업' 추천한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무상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