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밥상 - 우리의 밥상은 어떻게 만들어져 왔을까
김상보 지음 / 가람기획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람기획 출판사의 신간 [조선의 밥상]은 

현재 전통식생활문화연구소 소장으로 재직하시는 김상보님의 저서로

임진왜란 이후부터 구한말까지의 조선시대 사람들의 음식들과 식문화에 대한 이야기이다.

김상보님은 식문화를 평생 연구한 학자로서, 

이미 조선의 식문화에 대한 다양한 책들을 출간한 바 있다.

책장을 펼치면 그림으로 보는 조선의 밥상이라는 제목과 함께

궁중반과상, 궁중 상화병과 절병 사진을 비롯하여 

다양한 컬러 사진들이 수록되어 있어서,

책을 읽기도 전에 조선의 밥상에 대한 독자의 호기심을 자아낸다.

책의 구성은 크게 제1부 음식문화와, 제2부 찬품각론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 음식문화에서는 음식을 만드는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

신분별로 다른 밥상차림, 혼례음식, 제사음식을 비롯한 외식문화까지

조선의 다양한 음식문화 이야기와 배경이 소개되어 있다.

제2부에서는 주식류, 탕류, 찜류, 구이류, 젓갈, 회, 버터, 포와 절육, 나물, 고추장, 유밀과, 떡 등

조선시대의 각종 음식을 그 종류별로 상세하게 다루고 있다. 

조선시대에 버터를 만든 사람이 있었다는 이야기는 매우 흥미롭게 다가왔다.

빨간 고추가 조선시대에 도입되었다는 사실은 학창시절 역사시간을 통해 배웠으나

고추가 보그보디기 전에 김치에 천초를 넣었다는 이야기도 새롭게 알게 되었다.

조선시대에 참외를 즐겨먹었으며,

참외가 밤과 함께 민중의 과일이었기에

참외장수의 목소리를 길가에서 흔히 들을 수 있었다는 이야기와 함께 참외를 먹는 농부의 그림도 실려 있다.

역사와 식문화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 추천할 만한 책이다.


#식문화 

#조선의밥상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