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필생의 임무는 우리의 존재를 우리 자신이 아닌 다른 존재와의관계 속에서 이해하는 것이고, 코로나는 그 다른 존재에는반드시 동물도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을 명백히 했다. 나는말 못하는 생명들을 위해 발언하고 싶었다. - P21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말을 하는 상처‘가 책이다. 책은 상처들의 목소리다. - P16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는 무한한 가능성이 아니라 순응할 가능성을 살아간다.
순응이 이렇게 인간 가능성의 일부로 막강한 힘을 갖게 된것은 현실과 관련되어서 설명되기 때문이다. 누군가 순위를택할 때 우리는 이렇게 말한다. "그게 현실이야. "누군가 순응하지 않으면 이렇게 말한다. "너는 비현실적이야"
순응의 반댓말은 주체성이다. 주제성은 사람을한 관심과 충실과 헌신, 책임을 필요로 한다. 사실이다무엇에 대한 진지한 관심, 충실, 헌신, 배임 걸이는 우리에게 무한한 가능성은커녕 일말의 가능성이라도 하는없고 자유롭기는커녕 불안정하기만 하다. - P13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엇을 하는 힘과 무엇을 하지 않는 힘, 이 둘을 합하면 능력이다. 그리고 무엇을 하는 힘과 무엇을 하지 않는 힘의 관계를 바꾸는 것을 변신이라고 부른다. 무엇을 하는 힘과 무엇을 하지 않는 힘 사이의 균형을 평화라고 부른다. 이균형을 잡으면서 우리는 자기 삶의 주체가 된다. 이렇게 마침내, 자신이 누구인지 알아가게 된다.
자신을 알아가게 되는 과정에는 혜성의 꼬리 같은 것이필수적으로 붙는다. 선택과 행동이다.  - P77

그곳에는 나를 괴롭혀온 마음 깊은 곳의 가난함이 없다. 완전히 좋아하는 일을 하고 있지 않다는 데서 오는 가난함, 사랑하는 사람들,
사랑하는 것들 속에 있지 않다는 데서 오는 가난함. 둘 다치명적으로 우리 마음속 깊은 곳을 외롭게 한다. 그런데 우리에겐 최근 또 다른 가난함이 생겼다. 조회수에 매달리면서 생긴 가난함이다. 조회수와 그에 따르는 수익 창출에 관심을 쏟으면서 우리는 창조성을 많이 잃었다.  - P4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 평론집의 책머리에는 ‘삶의 어느 법정에서건 나는 그녀를 위해 증언할 것‘이라는 문장이 적혀 있다. 도대체 얼마큼 믿는 것일까.
얼마큼 아는 것일까. 얼마큼 사랑하는 것일까. 나는 누구에게 그 말을 해줄 수 있을까. 누가 나에게 그 말을 해줄 수 있을까. 금 안 밟았다고, 내가 다 봤다고 말해주는 화면 속 여자애의 얼굴을 영영 잊을수 없을 것 같다. 속거나 지거나 당하지 않기 위해 증거를 확보하느라 바빴던 내 유년기도 참 고단했는데, 아무런 무기도 방패도 없이증언자로 나서기까지 그 애가 견뎠을 온갖 서러움들은 감히 헤아리지도 못하겠다. - P490

 독자가 건네는 말에 쉽게 행복해지거나 쉽게 불행해지지 않도록 나는더 튼튼해지고 싶다. 나약하지 않아야 자신에게 엄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가끔 휘청거리면서도 좋은 균형 감각으로 중심을 찾으며 남과 나 사이를 오래 걷고 싶다.
- P52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