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사람들은 하나의 절기를 다시 세 마디(초후, 중후, 말후)로 나누어 섬세하게 계절 변화를 살폈는데 우수의 삼후는 이렇다. 초후엔 수달이 물고기를 잡아 늘어놓고 제사를 지내며,
중후엔 기러기가 북쪽으로 날아가고, 말후엔 초목이 싹튼다.
음, 그렇군......이 아니라, 수달이 제사를 지낸다니? - P37

살구꽃이 처음 피면 한 번 모인다.
복숭아꽃이 처음 피면 한 번 모인다.
한여름에 참외가 익으면 한 번 모인다.
가을이 되면 서쪽 연못에 연꽃을 구경하러 한 번 모인다.
국화꽃이 피면 한 번 모인다.
겨울이 되어 큰 눈이 내리면 한 번 모인다.
세모에 화분에 심은 매화가 꽃을 피우면 한 번 모인다.
모일 때마다 술과 안주,붓과 벼루를 준비하여
술마시며 시를 읊는데 이바지한다.
죽란시사첩서 - P4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