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이 고통스러운 이유는 나와 상대와 세상이 있는 그대로‘가 아니라 ‘내 기대대로 존재하기를 바라는 데 있다. 마음의 고통에서 벗어나기 어려운 것도 마찬가지이다. 생각과 감정을 통제할 수 없음에도 우리는 고통스러운 생각과 감정이 사라지기를 바라기 때문이다. - P204

소리를 크게 지른 것은 잘못했어‘가 반성이 아니라 소리를 지르게 된 그 기저의 마음을 살펴봐야 한다. 만약 ‘내가 한 번 이야기하면 아이는 바로 따라야 해!‘라는 마음속 엄격한 기준이 있었다면, 그 기준이 타당한지, 왜 그 기준을 갖게 되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물론 이렇게 반성한다고 해서 바로 개선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다. 오래된 문제일수록 바로 바뀌지 않는다. 그만큼 습관화되어 있기때문이다. 그러므로 반성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은 개선에 대한 관대함이다.  - P23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