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니즘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공부하면 공부할 수록 내가 얼마나 무지했는지 알게 된다. 그 무지로 인해 알게 모르게 이런 사회가 계속 유지되는 데 일조했다는 생각에 부끄럽다. 사회에서 일어나는 일련의 사건들을 들을 때 나는 피해자 중심으로 생각했다. 그 또한 피해자를 타자화하고 주체가 되지 못하게 했다. 숙대 트렌스젠더 입학 거부를 보면서 페미니즘을 말하면서 자신도 차별에 앞장 선다는 사실에 의아 하고 분노했다. 이태원 학원강사일도 보면서 사람들의 분노와 혐오에 대해 그건 아닌데 하지만 말할 수 없는 무지, 나의 고정관념들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된다. 페미니즘이 신 자유주의와 함께 오면서 중산층의 계급이 높은 여성들에게 다가 오는 페미니즘은 다르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계금과 페미니즘은 역시 분리 할 수없는 문제인 것 같다. 작가가 희망은 절망적 상황에서 가능하다고 했다. 이 현실을 직시하고 나설때 작은 희망이 있지 않을까?

P10
페미니즘은 가해자를 처벌하고 피해자를 보호하자는 사상이 아니다. 페미니즘은 그 이상이다. 페미니즘의 관심사는 피해와 가해라는 위치가 주어지는 방식 자체에 있다.

P10
피해와 가해라는 문제는 ‘누구‘ 혹은 무엇‘의 문제에서 ‘권력과 폭력‘의 문제로 재설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가 피해와 가해의 맥락을 어떻게 이해하고 번역하고 정당화하는지를 분석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이 책에서 시도하고자 한 것이 바로 이런 작업이었다. 무엇이 피해이고 무엇이 가해인지, 누가 피해자이고 누가 가해자인지가아니라, 권력이 폭력을 통해 실행되고 정당화되는 과정을 드러내는 것이 모든 필자들의 목표였다.

P17
누가 진정한‘ 여성인가? 가장심각한 피해는 누가 정하는가? 우선 순위는 사회 정의와 어떻게연결되는가? 정희진은 이러한 현상은 남성 정치의 모방일 뿐 아니라, 신자유주의 시대 자아 개념의 변화와 함께 페미니즘에도각자도생의 시대가 도래한 결과라고 본다.

P17
어떤 여성과 동일시할 것인가는 언제나 권력의 문제였기 때문이다. 백인 여성? 이성애자 여성? 젊은 여성? 비장애인 여성? 누가 여성의 ‘기준‘인가라는 질문은 여성주의 이론의역사 그 자체이다.

P18
하지만 정체성의 근거가 피해에 머무르게 되면, 여성들은 고통을 경쟁하고 피해를자원으로 삼는 남성 사회가 원하는 성 역할 수행 주체가 됨을잊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글의 요지는 이것이다. 페미니즘은 피해자 정체성의 정치가 아니고 피해 역시 그 자체로 사실이 되지 않는다. 현재의 ‘미투‘ 운동처럼, 피해자가 자신의 피해경험을 말하는 것은 사실의 공표라기보다는 담론적 실천‘이다.
그리고 이러한 담론적 실천이 사회 정의로 수용될 때 비로소 사회의 변화는 가능해진다.

P70
피해자의 목소리를 듣기 위해서, 우리는 지금까지 속해 있다고 생각했던 사회를다시 생각해야 하고, 그 목소리를 통해 알게 되는 것에 질문을멈추지 말아야 한다.

P109
누가 가해자인가 보다는, 무엇이 폭력인가‘를 질문했어야 했다.

P133
커밍아웃을 하는 데 용기가 필요한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그용기는 반드시 대중 앞에 나설 용기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케밍아웃은 먼저 자기 자신에게 "괜찮아. 나는 동성애자이고, 있는그대로의 나로 살아도 돼." 라고 말하는 것이다.

P136
피해를 말할 수 있는 용기를 사회가 개인에게 요구할 때 우리는 개인이 감당할 몫과 나를 포함하여 사회가 감당할몫이 따로 있음을 알아야 하고, 동시에 그 각각의 몫의 경계를구분하는 감각이 필요하다.

P147
그러므로 커버링을 완전히 수행하는 것은 애당초 불가능하다. 하지만 교묘하게 계속 소수자들에게 다른 사회적 지위와 대우가 가능하다는 착각을 스스로 하게 만든다.

P188
혐오는 가해자가 자신의규범성을 증명해야 하는 방어적 상황일 때 지배 규범을 인용하면서 그 형태를 갖추고 정당성을 획득한다.

P197
사회적 신뢰‘라는 것이 도대체 무엇인지를 피해자와 그 지지자체성, 혹은 이별 통보가 패닉을 야기할 정도였는지 물을 수 있고하는 것이다. 이럴 때 패닉 방어 전략의 피해자, 이별 살인의 피해자에게 책임을 돌리는 것이 아니라 왜 게이나 트랜스라는 정들이 변명하지 않으면서 말할 수 있다.

P225
그렇지만 피해자성을 중심에 둔 페미니즘은 타자와의 연대를불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사고방식은 ‘인간 고통의 총량이 정해져 있다고 보고, 나의 고통을 타인이 빼앗아 간다고 생각한다. 남성은 ‘권리‘를, 여성은 ‘고통‘을 빼앗긴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이때 사회적 약자에게 주어진 ‘선택‘은 두 가지이다. 타자와연대할 것인가, 아니면 지배 세력이 원하는 피해자가 될 것인가.
문제는 신자유주의 시대에 이 선택이 매우 특별한 의미를 띠게되었다는 점이다.

P234
성별 범주의 구속 대신, 개인으로서 각자도생의 길을 찾으려는 여성들에게 타인의 시선(가부장제의 규범)은 분노를 넘어 무시하거나 비웃어도 되는 대상이 되었다. 이는 우리 사회의 젠더 권력 관계가 변화했다기보다 성차별에 대한 여성들의 대응 방식이달라졌음을 의미한다. 개인이 모든 것을 헤쳐 나가야 하는 신자유주의 사회에서 자신의 의미를 확인하는 일은 타인과의 관계가아닌 자신과의 관계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때 일부 여성들에게는 나만을 위한 페미니즘이 일시적으로 필요하다. 생존의 개인화가 강하게 진행되고 있는 자본주의적 절대주의 사회에서 여성들을 움직이게 하는 힘은, 사회 정의로서 페미니즘‘이라기보다 각자 상황 속에서 자신에게 이익이 될 수 있는가 없는가 여부 즉 이익 집단으로서의 페미니즘 성격을 강하게 띠기 때문이다.

가p236
분명한 점은 지금과 같은 일부 페미니즘의 대중화 방식은 절대로 여성의 지위 향상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이들이 전제하는 젠더=여성‘은 관념이다. 젠더 한 가지만으로 작동하는 여성 억압은 없다. 젠더는 사회 구조 자체이자 사회 문제의 기본 분석 단위이며, 인식론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