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행복김ㄹ학생 교사‘ 프레이리는 아라우주 중등학교에서 학생들에게 포르 투갈어를 가르쳤다. 그곳에서 어린 프레이리 선생님은 나이에 상관없이 학생들을 존중했다. 학생들의 실수, 잘못, 그들이 가지고 있는지식 등을 있는 그대로 인정했다.
나는 프레이리가 이미 그때부터 교사가 학생을 교육할 때 갖춰야할 권위의 본질을 깨닫고 있었다고 생각한다. 그것은 10대 교사 프레이리가 학생들을 가르칠 때 취했던 태도와, 스물다섯 살 무렵부터시작해 8년간 헤시페 산업복지국에서 일하면서 노동자와 민중을 만날 때 그들을 위해‘, 또는 그들에게 이야기하지 않고 그들과 함께‘
대화했던 방식의 밑바탕에 깔려 있다. 학생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존중하라. 이들 방식은 각각 "위해 교육", "에게 교육", "함께‘ 교육"으로 명명할 수 있는데, 나는 다음과 같은 말도 프레이리 특유의
"함께‘ 교육"에서 파생되었다고 생각한다.
p.22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