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대동여지도 - 한글로 쉽게 읽고 활용하는 <대동여지도> (최신 개정판)
김정호 지도, 최선웅 도편, 민병준 글 / 진선북스(진선출판사) / 202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무료로 책을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조선 후기 드디어 조선 사람들은 중국중심의 세계관에서 눈을 돌려 우리의 역사와 문화, 영토를 바라보기 시작하였다. 중국의 역사가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중국인들은 어떻게 생각하였는지, 중국의 영토 범위와 도시에는 무엇이 있는지를 넘어 과연 우리가 발 딛고 있는 조선은 어떠한 곳인지 생각해 보게 된 것이다.


그 중심에는 김정호가 있었다. 그는 우리 국토에 관심을 기울였다. 산과 하천, 길과 마을 이름 등 그는 우리나라 곳곳을 기록하고자 노력하였다.그리고 그 결실이 우리에게 잘 알려진 대동여지도이다. 그런데 대동여지도는 다른 역사자료가 모두 그러하듯 기본적으로 한문으로 기재되어 있다. 이 책은 그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한글로 작성된 대동여지도이다. 각 지역의 지명을 한문 위에 한글로 따로 표기하고 있어 읽기가 매우 용이하다. 


또한 대동여지도의 각 부분을 목차에 따라 수록하고 있어 원하는 지역을 찾아보기에도 매우 간편하다. 그리고 지도마다 땅에 대한 개관을 수록하고 있어 그 지역의 기본적인 연원을 알고 지도를 살펴보면 대동여지도의 우수성을 더욱 잘 살펴볼 수 있다. 학교에서도 수업시간 중 조사 대상 지역을 학생들에게 살펴보게 하고 원하는 지역을 채색해보도록 해서 학생들이 지도를 친숙하게 느끼도록 하고 지역을 잘 살펴보며 지역에 대한 애정을 갖게 하기에 매우 좋다.


대동여지도의 원본은 인터넷에서도 쉽게 찾기가 어렵고 또 찾았다 할지라도 지역을 자세히 보기 위해 화면을 확대하거나 이리저리 돌려보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이 책을 통해 대동여지도를 살펴보면 선명하게 원하는 지역을 명확히 볼 수 있다.


대동여지도는 잘 알려져 있다시피 매우 우수하고 과학적인 지도이다. 옛 지도를 살펴보는 것은 지역의 과거와 변화를 알아보는데 가장 선행되어야 할 일이다. 그렇게 볼 때 이 책은 지역사연구자의 입장에서도 매우 고마운 책이다. 차후에도 이처럼 역사자료가 한글 책으로 발간되어 역사연구가 보다 용이해지기를 소망한다.


한글로 표기된 대동여지도를 쉽게 읽으며 김정호의 노력과 조선 후기 지역의 모습, 옛 지도의 우수함을 알고자 하는 독자들에게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