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선 두꺼비가 지키는 전통 사찰 이야기 - 천년을 지켜온 사찰 공간과 건축의 비밀
권오만 지음 / 밥북 / 2025년 7월
평점 :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무료로 책을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고난과 고통이 가득한 현실에서 벗어나 평안과 구원으로 이르고자 하는 인간의 소망은 동서양이 모두 같다. 이러한 소망이 반영된 유럽의 대표적인 문화유산이 교회나 성당이라면, 아시아의 대표적인 문화유산은 역시 절이다. 종교적 공간에 인간의 간절한 염원이 모이는 만큼 종교시설에서 볼 수 있는 아름다운 예술작품과 화려한 건축이 많다. 나아가 종교사원은 모두 눈에 명확히 보이는 물질적인 것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것까지 신경쓰는 세심함이 녹아있다.
우리나라에서 절을 보는 것은 쉽다. 각 지역마다 대표적인 절일 많기에 우리가 절을 보는 것은 흔하다. 누군가는 깨달음을 얻으러, 누군가는 산의 정취를 맛보러 절을 찾는다. 그런데 우리는 과연 절집을 제대로 감상하고 있을까?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처럼 불교와 절에 대해 아는 것이 부족하여 절을 오로지 감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을 듯 하다.
이 책은 절에 담긴 다양한 건축물과 예술작품, 거기에 담긴 불교 사상과 가르침의 내용을 설명하고 있는 책이다. 누구나 절을 방문하고는 왜 저 곳에 저런 모양의 용이 있는지, 저런 형태의 탑이 있는지, 조각이나 회화가 무슨 내용을 담고 있는지 궁금함을 느낀 적이 있을 것이다. 이 책은 그런 궁금증을 해결하고 절을 바라보는 방법을 설명하는 안내책자의 역할을 한다.
불교의 가르침을 잘 알고 있다고 해도 절간의 아름다움을 완벽히 아는 것은 상당히 힘들다. 왜냐하면 한국의 불교는 단순히 불교의 사상과 불교 에피소드만 담고 있는 것이 아니라 민간신앙, 인도나 중국 문화와 결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은 불교를 넘어 건축과 문화재에 담긴 제작과정, 이유, 배경을 우리에게 풀어준다.
이 책을 읽고 절을 방문하는 독자는 분명 이 책을 읽기전 보이지 않던 것들이 보이기 시작할 것이다. 우리 문화와 사찰을 사랑하는 독자들에게 사찰에 대한 새로운 시야를 열어주는 이 책을 권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