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닥터프렌즈의 구사일생 세계사 - 죽다 살아난 인류 생존의 의학사 ㅣ 닥터프렌즈의 세계사
이낙준 지음 / 김영사 / 2025년 5월
평점 :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무료로 책을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역사를 전공하고 아직도 공부하는 사람으로서, 역사가 참 어렵다고 느끼는 이유 중 하나는 어떤 주제에 대해 전문적으로 파고들어 그 역사적인 변화와 맥락을 살펴봐야 한다는 점이다.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어느 영역을 연구하더라도 해당 주제에 대한 지식을 먼저 쌓고, 그 주제에서 자주 활용되는 용어에 익숙해져야 그 주제에 대한 변화를 추적할 수 있다.
그렇기때문에 의학의 역사라는 주제는 어떻게 보면 역사가들에게는 꺼려질 수 밖에 없는 영역이다. 의학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고, 신체의 구조와 처방, 치료법 등을 기본적으로 알고 있어야 의학의 변화와 역사적 반전을 설명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영역은 역사가에게는 불가능에 가까운 영역이다.
그렇기에 이 책이 반갑다. 이 책은 의사인 저자가 의학의 역사를 주제로 집필한 책이다. 저자는 세계사에서 나타난 유행병, 빌병과 치료, 인간이 탐닉한 물질, 혁신적인 치료법 및 수술법의 역사를 추적하고 있다. 특히나 의학적 지식이 없는 사람도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설명을 하여 읽기에 큰 어려움도 없다.
이 책의 또 다른 특징은 저자가 던지는 질문이다. 고대인들은 사랑니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는지, 골절치료가 언제부터 시작되었을지 등의 질문은 저자가 의사이기에 생각할 수 있는 역사에 대한 질문이다. 또한 서로 대립되는 자료를 찾아보고 나름의 사료비판을 통해 더 나은 해석을 제시하는 점도 이 책이 역사 교양서로서 갖추고 있는 훌륭한 자질이다.
역사는 역사가만의 것이 아니다. 역사가가 시대와 사회에 대한 종합적이고 맥락적인 흐름을 만듣다면 개별 사례와 주제를 전문적이고 역사적으로 다루는 것은 개별 영역의 연구자의 역할일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개별 주제와 역사적 맥락이 상호작용하고 하나의 거대한 구조를 이룬다면 역사는 분명 풍성해질 것이다. 이 책은 그러한 참신한 시도로 역사를 바라보고자 하는 독자들에게 좋은 모범이 되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