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꾸로 읽는 한국사 - 멸망으로 시작해서 건국으로 이어지는 5,000년 역사 이야기
조경철.조부용 지음 / 클랩북스 / 202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무료로 책을 제공 받아 작성한 서평입니다.


역사는 사실과 해석의 결합이다.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일단 사실이다. 역사는 사료를 바탕으로 사실을 구성하고 그 살을 통해 과거의 모습을 추적한다. 이것이 역사가 과학인 이유이다. 하지만 단순한 사실 그 자체만으로는 역사가 죌 수 없다. 사료를 분석하고, 사료를 통해 사실을 이끌어 내고 그것을 토대로 과거상을 구성하는 것은 역사가이다.


그렇기에 역사는 끊임없이, 그리고 다양한 관점에 의해 재해석 되어야만 한다. 그렇게 볼 때 이 책은 상당히 도발적이다. 역사는 시간을 다루는 학문이므로 시간순으로 사건을 구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하지만 이 책은 건국에서 멸망에 이르는 시간순의 과정이 아니라 멸망에서 건국으로 이어지는 역시간순으로 역사를 살펴본다.


또한 이 책은 기존의 통설과는 다른 역사에 대한 다양한 시도와 해석을 보여준다. 그것이 이 책이 지닌 강점이다. 대표적으로 일제강점기라는 표현 대신 우리 민족의 주체성을 강조한 '일제저항기'라는 표현을 사용하자는 제안은 효용성이 있어 보인다.  하지만 몇 가지 아쉬운 점도 남는다.


첫째 저자는 주몽의 고려는 전고려, 안승의 고구려부흥운동을 남고려, 궁예의 후고구려를 후고려, 왕건은 고려라는 용어를 쓸 것을 주장한다. 하지만 역사의 용어와 국호를 쓸 때는 당대의 이름과 사서에 등장하는 용어를 쓰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 또한 고구려부흥운동을 과연 남고려라는 국가로 볼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더불어 이들을 고려라는 카테고리로 묶는다는 것은 현재주의적 관점이 너무 부각되어 보인다.


둘째 저자는 가야의 역사적 위치에 주목하여 삼국시대가 아닌 사국시대라는 용어를 쓸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관점은 가야가 비록 하나의 중앙집권국가를 이루는 데는 실패했어도 그 역사적 위상과 중요도가 삼국 못지 않다는 점을 부각하여 삼국시대에 가야의 존재를 재고한다는 장점은 있다. 하지만 그렇게 본다면 연맹왕국인 가야를 중앙집권국가인 삼국과 대등하게 위치시켜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들의 발전적, 국가적 특성 차가 드러나지 않는 것이다. 또한 고구려 문자명왕시기에 멸망한 부여는 왜 삼국, 사국에서 제외되어야 하는지도 의문이다.


셋째 저자는 한사군, 미군정기 등 외세에 의해 우리 민족의 주체성이 훼손된 시기를 역사에서 지우고 싶어하는 의지가 보인다. 이러한 생각은 과도한 민족주의적 해석이다. 우리가 외세에 의해 자주성이 훼손된 시기는 그 자체로 존중하고 인정하며 역사에 기록하는 것은 부끄러운 것이 아니다. 그것은 그것대로 역사이다.


역사는 끊임없는 해석이다. 기존 통설에 의문을 제기하고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며 색다른 관점에서 역사를 바라보려는 시도는 역사 공부에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므로 이 책은 역사에 대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공해 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