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975 사이공 대탈출
이문학.정호영 지음 / 하다(HadA) / 2025년 3월
평점 :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무료로 책을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12.3내란의 밤, 우리를 두려움에 떨게 했던 것은 국회에 난입하는 군인들의 모습이었다. 그들은 단지 옷 색깔만 검은색으로 바뀌었을 뿐1 2.12의 반란군을 연상시켰고, 1980년 5월의 계엄군을 떠올리게 했다. 두 번의 군사 쿠데타와 또 한번의 친위 쿠데타에는 모두 군이 동원되었다. 그만큼 우리 군은 한국 현대사에서 비극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그런데 내란이 진압되고 관련된 재판이 진행되면서 명령에 소극적으로 임하거나 부당한 명령에 저항했던 군인들의 정신과 사명감이 밝혀졌다. 김형기 대대장은 내란수괴의 앞에서 그의 상징과도 같은 언어 "사람에게 충성하지 않는다."는 말을 실천으로써 되돌려주었고, 곽종근 사령관은 자신의 과오를 뉘우치고 모든 재판에서 사실을 있는 그대로 고하였다.
이러한 군의 정직성과 사명감 그리고 국가와 국민을 지키겠다는 정신은 하루아침에 나온 것이 아니다. 그리고 그 역사의 뿌리는 1975년 베트남전에서 펼쳐졌던 십자성 작전에도 닿아있다. 월남의 패망이 가시화되던 시기 대한민국 해군은 월남에 남겨진 우리 교민들과 외교관들의 생명을 보호하고 그들을 안전하게 한국으로 데려오기 위해 위험 천만한 수송작전을 실시했다.
위험천만한 전장에서도 사람들의 목숨을 구하기 위해 작전에 참여한 인원들은 주저하지 않았다. 그리고 퍼붓는 총탄, 함선의 고장, 악회되는 전세와 두려움 가운데 작전대원들은 무사히 임무를 완수하고 교민들의 수송에 성공한다.
이 십자성 작전에 대한 이야기는 그동안 너무 우리에게 안 알려진 사건이었다. 이 책은 그러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는 점 그 자체로도 소중하다. 더군다나 이 책은 당시의 상황을 치밀하게 묘사하여 마치 영화를 보는 박진감과 안도감을 느끼게 한다. 마지막에 부록처럼 정리되어 있는 베트남전쟁에 대한 설명도 충실하다.
사망과 파괴, 고통과 신음 한 가운데에서 오히려 국민의 목숨을 지키기 위하여 작전에 참여한 이들은 영웅이다. 그리고 이러한 군의 사명감이야말로 우리가 제복을 존경하는 이유가 되어야 할 것이다. 이 책에는 그러한 존경 받아야 할 군인들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