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실 이데아 - 수능에서 IB 교육으로 대한민국 시험의 패러다임을 바꿔라
김신완 지음, 이혜정 감수 / 을유문화사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무료로 책을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중고등학교 교육의 최종 종착지는 수능이다. 교육과정, 평가, 수업 모두 이 수능 모델을 이상으로 삼아 이루어진다. 그도 그럴 것이 수능은 학생이 어느 대학을 갈 수 있을지를 결정하는 시험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많은 미래학자 내지 교육자들의 바람, 예측과는 달리 아직까지 한국의 학벌주의는 강고하다.


그렇지만 수능이 완벽한 시험은 절대 아니다. 오히려 문제가 많다. 과도하게 꼬아낸 문항, 방대한 지문, 외국인이 풀어도 이해하지 못하는 영어 빈칸 문제는 화제가 된 지 오래다. 수능이 학생들의 다양성과 창의성, 잠재력을 평가하지 못한다는 문제를 차치하고서라도 수능 문제를 보고 있자면 이미 문항 자체에서 수능의 종말을 생각해 보게 된다.


이 책은 그런 수능의 대안으로 IB교육을 제시한다. 저자는 학교의 IB교육 다큐멘터리를 촬영하며 보고 듣고 느낀 점을 책으로 엮어냈다. 책에서는 IB커리큘럼과 평가 시스템, 현재 교실에서 일어나고 있는 IB교육의 현실을 보여준다.


특히나 이 책에서 IB에서 진행하는 서술형 평가 체제를 이해할 수 있었다. 내부와 외부시험으로 구성되며 전문적이고 조직적인 채점시스템으로 공정성과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는 체제에 신뢰감이 갔다. 특히 역사과목의 경우 특정 시대를 주제로 선정해 학생들이 직접 사료를 탐색하고 역사적 사건에 대해 학습하며 자신의 평가를 작성하는 과정을 통해 역사적 판단력을 키워줄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이었다.


많은 장점이 있는 IB지만 그럼에도 교사들이 IB를 기피하는 것은 두가지 이유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첫째 IB를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는 대구교육청의 경우 (늘 그러하듯) 상명하달식으로 교사들에게 강요하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마치 디지털 교과서 처럼) IB가 진정 대안 교육이라면 교사들의 자발성과 설득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둘째 IB는 정말 가르치는 일에 열정을 쏟고 싶어하는 교사들의 잠재된 욕구를 실현시켜줄 좋은 수단이 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수업 및 평가와 교육행정사무의 철저한 분리가 필요하다. IB가 성공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노력과 연구를 바탕으로 해야한다. 그럴 시간과 에너지의 투입을 위해 교사들에게 맡겨진 과도한 행정업무를 완전히 분리시켜야 IB는 성공적으로 작동할 것이다.


과연 IB가 수능을 대체하고 무사히 우리 교육체제에 안착할 수 있을지는 아직 지켜볼 일이다. 하지만 이 책을 읽으며 수능에 대한 대안으로 IB를 보다 진지하게 검토해볼 필요는 확실히 있다는 생각은 확실히 가지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