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토아 철학자의 편지 ㅣ 북커스 클래식
루키우스 안나이우스 세네카 지음, 유원기 옮김 / BOOKERS(북커스) / 2024년 12월
평점 :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무료로 책을 제공받아 작성한 서평입니다.
포스트모더니즘의 커다란 사상적 공로는 그것이 기존에 진리라고 믿어오던 것들에 균열을 내고 인간의 사상과 행위의 자유를 부여했다는 점이다. 그래서 니체와 사르트르를 좋아한다. 절대적 가치에 대한 도전과 비판, 해체와 주체성. 현대사회에서 존중되는 가치들은 결국 포스트모더니즘이 가져온 산물이다.
그런데 포스트모더니즘적 사고가 너무 나갔다는 생각이 드는 요즘이다. 지금은 포스트모더니즘을 넘어 포스트트루스시대에까지 도달한 듯 하다. 모든 권위와 이성적 사고가 무너지고 감정과 일회성, 말초적 쾌락이 자본과 연결되면서 공동체를 흔드는 듯하다.
결국 다시 답은 철학에 있다. 거대담론이 사라진 시대, 담론의 부활과 방향성에 대한 검토를 위해서는 철학의 위기이니 뭐니 해도 철학 책을 다시 꺼내 들 수 밖에 없다. 이 책은 그 중 스토아 학파의 대표적인 철학자 루키우스 세네카의 편지를 묶은 책이다.
세네카를 비롯한 스토아 철학자들 이성과 평정심을 강조했다. 세네카의 편지 곳곳에서 세네카는 이성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결국 이성을 통해 우리는 죽음에 대한 공포를 극복하고 덕 있는 삶을 살아가며, 더 나은 공동체를 만들어 나갈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최근 철학 관련 서적들이 상당 부분 철학자의 복잡한 고뇌나 어려운 이야기는 빼버리고 사람들에게 짧고 말초적인 위안과 지침 만을 주는 것처럼 쓰여져 불만이었다. 우리는 철학을 통해 삶의 좌표를 설정하고 위로를 받기는 하지만 철학의 목적에서 그것이 다는 아니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세네카의 편지를 종합적으로 엮어 세네카의 사상과 철학을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돈 많이 버는 것이 인생의 성공을 측정하는 기준이 되고, 진영논리에 휩싸여 합리적 근거와 학문적 권위를 무시하며, 가상의 공간에서 위로를 얻으며 말초적 즐거움을 추구하는 시대이다. 이성의 가치를 역설하며 욕심과 감정에 휘둘리지 않는 아파테이아를 추구한 세네카의 편지는 마치 오늘날 우리에게 전하는 편지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