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쓰기 공부법 - 아이에게 딱 맞는 학습법을 찾는 전략
주영은 지음 / 마인드빌딩 / 2025년 1월
평점 :
*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무료로 책을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공부'라는 것은 무엇일까? 어느 순간 사회에서는 이 공부라는 것이 서로 다른 활동을 일컫는 말이 된 것 같다. 첫째는 '공부=성적'이다. 공부를 잘한다는 것은 곧 좋은 성적을 얻고 높은 점수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공부가 자신의 내면이나 사회적, 과학적 현상을 이해하는 행위를 의미하는 경우이다. 이 의미에서 공부는 그것이 꼭 높은 성적으로 이어지지는 않더라도 자아를 발견하고 세상을 이해하고 살아가는 지혜를 획득하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공부=교육의 의미이다. 공부를 통해 민주시민으로 살아가는 기본적인 역량과 기술을 얻는 것을 의미한다.
이 세 가지의 의미는 서로 중첩되어 있기도 하면서 동시에 사람마다 공부를 통해 획득하고자 하는 결과가 다르다. 학교는 이 세 가지 영역의 공부를 모두 시키는 곳이기도 하며 어느 곳에 더 중점을 둘지 갈등하기도 한다.
이 책에서 제시하는 반성적 쓰기란 공부의 세가지 영역을 모두 아우르는 학습법이다. 반성적 쓰기의 방법을 간단히 설명하면 이러하다.
1. 수업 메모하며 듣기
2. 자신의 수업 태도 객관적으로 적기
3. 요약하기
4. 이래도 점검 및 앞으로의 공부 전략 세우기
5. 오늘 공부한 모습 떠올리며 감정적기
완전히 새로운 공부법이라기보다는 기존에 많이 쓰여온 필기+요약+자기점검과 피드백+학습플래너의 방법을 융합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으로 우리에게 낯설지 않다.
이 방법을 잘 활용한다면 수업시간에 집중력 있는 태도를 가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습에 대한 메타인지와 자기점검능력, 계획성까지 길러줄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교사의 입장에서는 수행평가의 한 방법으로도 활용할 수 있어 보인다.
결국 중고등학교 때의 공부는 자신에게 잘 맞는 학습 방법을 찾아가는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그 과정에서 자신에게 맞는 방법, 맞지 않는 방법을 모두 적용해보고 자신만의 방법을 주체적으로 찾는 것이 필요하다. 그렇게 볼 때 '반성적 쓰기'란 공부를 잘 하기 위한 효과적인 학습법 중 하나로 언제든 활용해 볼 만한 좋은 공부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