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계사를 만든 30개 수도 이야기 - 언어학자와 떠나는 매력적인 역사 기행
김동섭 지음 / 미래의창 / 2024년 12월
평점 :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무료로 책을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우리는 특정 국가에 해외여행을 갈 때 왠만하면 그 국가의 수도로 가고 어떤 나라의 가장 대표적인 모습을 상상할 때 흔히 수도를 상상한다. 왜냐하면 수도는 곧 그 국가를 대표하는 공간이기 때문이다. 왜 그럴까? 그 해답은 책의 표지에서 제시한 한 문장으로 설명할 수 있다.
"수도는 움직이는 권력이다."
이 문장의 키포인트는 두가지다. 첫째 수도는 권력과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수도가 한 국가의 많은 다른 도시들과 다른 점은 바로 그 국가를 상징하는 권력기구가 수도에 집중되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가령 대한민국의 서울에는 대통령이 거주하고, 미국의 워싱턴DC에는 미국 대통령이 거주한다. 일본 도쿄에는 총리가 거주하며, 영국의 런던에는 영국 총리가, 프랑스 파리에는 프랑스 대통령이 거주한다.
그렇기에 수도는 곳 권력의 공간이자 권력이 발생하여 각 지역으로 그 나라 전체로 퍼져나가는 시작점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수도는 움직인다. 수도가 움직이는 이유는 그 국가의 정체성, 정치체, 기본 이념이 변경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고려가 멸망하고 조선이 건국된 후 우여곡절끝에 조선은 고려의 수도 개경에서 한양으로 수도를 옮긴다.
이 과정에서 수도였던 공간이 그 위상을 잃어버리거나 시골 변방의 도시가 수도로 격상되기도 한다. 특정 국가가 어떠한 상황이냐에 따라 수도는 가변하는 공간이다.
이 책은 세계의 여러 수도의 역사를 통해 그러한 권력의 변화와 역사를 잘 설명한 책이다. 특히나 언어학자인 저자는 책 곳곳에서 언어적 유사성과 변화를 통해 도시 명칭의 유례와 변화를 세심히 추적한다.
로마, 바그다드, 파리, 도쿄, 뉴델리 등 이 책은 동서양, 세계 곳곳이 수도로 선정된 유례와 수도를 둘러싼 국가의 역사를 잘 설명하고 있다.
아무리 시간적 경제적 여유가 많은 사람도 전세계의 모든 곳을 돌아다녀볼 수는 없다. 이 책은 수도의 역사를 통해 수도의 역사와 여러 나라의 역사, 세계사에 대한 이해를 도와준다. 결국 수도를 이해한다는 것은 역사를 이해한다는 것이라는 점을 이 책은 다시 한번 친절히 우리에게 가르쳐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