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언젠가 사라질 날들을 위하여 - 수만 가지 죽음에서 배운 삶의 가치
오은경 지음 / 흐름출판 / 2024년 12월
평점 :
*이 책은 출판사로 부터 무료로 책을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내가 상당히 좋아하는 철학자이자 문학가인 알베르트 까뮈는 삶이 ‘부조리’하다고 했다. 까뮈와 사르트르로 대표되는 실존철학에서 인간은 목적없이 삶에 내던져 진다. 그리고 그러한 삶을 살아가다 누구나 죽음을 맞이한다. 죽음이 예정되어 있지만 삶을 살아내야만 하는 인간의 운명. 이것이 바로 부조리다.
이처럼 죽음은 이 불공평한 세계에 유일하게 평등하게 주어진 조건이다. 우리는 죽음을 삶의 끝이자 마침표라고 생각하고 삶의 탄생과 죽음의 빈칸을 하루하루 열심히 채워간다. 죽음이 끝이기에 중요한 것은 삶인 것 같고 죽음 앞에서는 모든 것이 무의미해져 보인다. 하지만 이 책의 책장을 넘기다 보면 죽음은 삶을 성찰하게 하며 죽음 그 자체도 삶을 이루는 칸의 하나라는 것을 깨닫게 된다.
이 책은 여러 죽음의 다양한 모습을 묘사한다. 병실에서 각자의 사연을 안고 때로는 원망하고 때로는 만족하는 삶의 마무리를 작가는 오랜 세월 목도했다. 작가는 말한다. 어느 죽음이다 억울하다고.
그렇다. 어떻게 보면 삶뿐만 아니라 죽음 또한 부조리한 것 같다. 하지만 어쩌겠는가. 우리는 언젠가 누구나 다 죽음을 마무리 해야 한다. 나의 죽음은 어떠한 모습으로 기억될까. 그것은 내 삶의 모습이 받아들게 될 최종 결산과도 같은 것이다.
멋진 죽음이라는 것도 존재한다고 생각한다. 죽음으로서 세상을 구원한 그리스도의 죽음, 노량의 총알에 마지막까지 자신의 사명을 다한 이순신의 죽음, 80년 광주의 전남도청에서 계엄군의 총칼을 막아서던 죽음. 결국 그들의 죽음은 삶의 아름다운 마무리였다.
나의 죽음 또한 그려본다. 언제가 될지, 어떤 모습일지 알 수 없는 그날. 그날 눈을 감으며 내 삶이 그리 헛되지 않았기를. 나의 죽음에 너무 많은 사람이 슬퍼하지 않기를. 생애가 부끄럽지 않되 너무 아프지는 않기를. 억울해 하거나 더 붙잡으려 하지 말고 당당히 새로운 모험을 떠나기를.
죽음에 관한 이 책을 덮으며 삶의 자세와 가치를 되돌아보게 만드는 것은 이 책이 주는 아름다운 역설이 아닌가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