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미 돌아오다
사쿠라다 도모야 지음, 구수영 옮김 / 내친구의서재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쿠라다 도모야의 '매미 돌아오다'는 일본 본격 미스터리의 전통을 따르면서도, 그 결을 좀 다르게 꿰어낸 작품이다. 곤충학자 에리사와 센이 등장하는 다섯 편의 연작 단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사건은 단순한 ‘범인 찾기’를 넘어서 삶의 이면을 섬세하게 들여다본다.

이 책은 ‘왓더닛(Whatdunit)’이라는 추리 형식을 따르고 있다. 사건의 인과와 본질을 파헤치는 방식으로, 흔히 말하는 ‘누가 범인인가’보다 ‘무슨 일이 일어난 것인가’에 초점을 맞춘다. 사실 미스터리소설을 꽤나 많이 읽었다고 자부하면서 사회파보다는 본격미스터리를 더 좋아한다 자부했었지만 그간 후더닛, 하우더닛, 와이더닛은 익숙하게 접할 수 있었던데 반해 왓더닛 자체는 이번 작품을 통해 처음으로 접해 심도있게 즐길 수 있었던 것 같다.

에리사와 센의 추리는 조용하지만 깊고, 겉으로 드러난 사실 너머를 바라보는 그의 시선에는 묘한 여운이 있다.

첫 번째 단편 '매미 돌아오다'는 지진으로 무너진 마을에서 실종된 소녀의 유령을 봤다는 청년의 이야기로 시작된다. 유령이라는 키워드가 나오지만, 이야기는 초자연적인 공포보다 ‘기억’과 ‘부재’를 중심으로 흘러간다.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통해 오히려 너무도 인간적인 감정에 다가간다.

두 번째 단편 '염낭거미'에서는 연쇄적인 교통사고와 상해 사건이 등장한다. 곤충 생태에 빗댄 비유와 함께 센은 인간관계 속 얽힘을 하나씩 풀어낸다. 단순한 트릭이 아니라, 사람들의 미묘한 심리를 따라가는 전개가 인상 깊다.

세 번째 '저 너머의 딱정벌레'는 외국인 혐오를 중심에 두고 있다. 이방인에 대한 편견과 배타적인 시선이 어떻게 혐오와 폭력으로 발전하는지를 조용히 조망한다. 사회적인 메시지가 가장 도드라지는 단편이다.

네 번째 '반딧불이 계획'은 왓더닛과 후더닛이 결합된 것 처럼 느껴지는 단편이었다. 후반부 정리에서 노리즈키 린타로가 말했듯이 미스터리 추리 소설에서의 이러한 요소들은 그라데이션이 들어간 것 마냥 어느 하나로 명확하게 구분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실종된 작가를 찾아가는 이야기는 결국 작가가 왜 실종되었는지를 통해 와이더닛으로 시작해 연작단편으로서의 후더닛과 왓더닛으로 마무리된다.

무엇보다 인상 깊었던 점은, 작품이 끝난 뒤 수록된 해설과 후기다. 작품 외적인 요소들과 함께 작품을 다시 돌아볼 수 있다는 점에서 작품을 읽은 뒤 인터넷에서 찾아 알게 되는 것이 아닌, 정식으로 해당 해설이 수록되어 있다는 점에 감동받았다. 심지어 후기는 문고본과 단행본으로 나뉘어 수록되어 있다는 거.

'매미 돌아오다'는 자극적인 전개나 반전으로 승부하는 작품은 아니다. 대신 조용하고 섬세하게, 사건을 둘러싼 사람들의 감정과 풍경을 들여다본다. 묘하게 고요하면서도 울림이 있는 이야기. 평소 왓더닛을 좋아하지 않았거나 후더닛 와이더닛 하우더닛에 빠져 모르고 지냈던 나와 같은 독자라 해도, 한 번쯤은 이 책으로 그 세계를 경험해보길 권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