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음과모음 2024.겨울 - 63호
자음과모음 편집부 지음 / 자음과모음 / 202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정한 네트워크 : 문학, 연결, 그리고 '동료'

─『자음과모음』(2024 겨울 63호)을 읽고

2018년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폴란드 출신의 작가 올가 토카르추크는 "가능한 한 폭넓게 이해된다는 점에서 문학은 본질적으로 '네트워크'와 유사하다"라고 말했다. 문학을 통해 비로소 "하나의 존재를 구성하는 모든 개체 사이에 광범위한 교감과 연결"이 이루어진다고 본 것이다. 그의 문장을 보고 감명한 나는 그가 노벨문학상을 수상을 기념해 기조 강연한 글을 찾아 읽었다. 거기서 그는 문학에 대해 이렇게 얘기했다.

"문학이란 우리와 다른 모든 개별적 존재에 대한 다정함에 근거합니다. 이것이 바로 소설의 기본적인 심리학적 메커니즘입니다. 다정함이라는 이 놀라운 도구, 인간의 가장 정교한 소통 방식 덕분에 우리의 다양한 체험들이 시간을 여행하여 아직 태어나지 않은 누군가에게까지 다다르게 됩니다. 언젠가 그들은 우리가 자신에 대해서, 그리고 우리의 세상에 대해서 기록하고 이야기 한 것들을 만나게 될 것입니다."

올가 토카르추크, 최성은 역, 『다정한 서술자』, 민음사, 2022, 364쪽.

계간『자음과모음』2024 겨울호(63호)를 리뷰하면서 올가 토카르추크의 문장을 인용한 이유는 이번 호의 크리티카가 다름 아닌 '동료'이기 때문이다. 김영찬, 최가은, 이여로 평론가는 비평에서 문학적 동료-되기/맺기의 가능성을 탐구하고 사유한다. 우지안 연출가는 '동료'라는 단어의 깃든 보다 사실적인 감정을 톺아보며, 끝으로 김영희 교사는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동료들의 유대관계를 문학과 연결지어 풀어낸다.

올해 노벨문학상 수상자로 선정된 한강 작가는 한림원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자신의 수상 소식이 "한국 문학 독자들과 동료 작가들에게도 좋은 일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노벨문학상 수상 직전 진행된 인터뷰에서 한강 작가가 최근 읽었다고 말한 작품은 김애란의『이중 하나는 거짓말』과 조해진의 『빛과 멜로디』였다. 두 작품 모두 올해 하반기 출간된 신작이다.)

이에 힘입어 계간『자음과모음』2024 겨울호(63호)의 [특별기고] 코너에서는 이택광 평론가와 이영일 번역가, 김유태 기자가 한강의 작품들과 한국문학의 현재를 연결해 살펴본다.

또한 [메타비평] 코너에서는 성현아, 오혜진, 한설 평론가의 예리하고 치밀한 평론을 확인해 볼 수 있으며, 이어지는 [시], [단편소설], [장편소설], [에서이] 코너에서는 한국문학장에서 뛰어난 성취를 보여주고 있는 여러 작가들의 신작도 만나볼 수 있다. 그중 개인적으로 인상 깊게 읽은 시 한 편을 여기 남겨둔다.

우리가 마음을 말할 때

물에 떠 있는 새들이 무리를 지어 덤불 부근으로 움직일 때

질척이는 진흙 바닥에 애벌레와 지렁이가 몸을 숨길 때

부모와 아기 새가 부리로 깃털을 빗어 기름을 바를 때

얼룩덜룩한 깃털이 저녁 빛에 잠겨들어 눈에 띄지 않게 될 때

우리를 향해 윙크하는 오리 한 마리를 당신이 가리킬 때

마음에 잔잔한 물결이 일어 우리는

자기가 간직한 첫 기억을 꺼내 들려준다

동생이 태어난 날 이모 등에 업혀 낮잠을 잔 날

굴뚝 옆 공터에서 흙 밥을 지어 놀이한 날

상여가 놓인 마당에서 자갈을 가지고 논 날

너무 어려 이마에 링거주사를 맞은 날

징검다리를 건너다 물에 빠져 허우적거린 날

페치카에 장작을 넣고 불을 피운 날

아빠가 지은 새 집에서 가족사진을 처음 찍은 날

그 모든 날이 우리의 마음에 깃들어 쉴 때

당신은 오리 한 마리를 지나

어둠을 지나 이 산책을 계속하기로 한다

가로등에 불이 들어오는 순간에도 작은 감탄을 뱉으면서

남지은, 「우리가 마음을 말할 때」

* 마지막으로 이번 호에서는 <제12회 자음과모음 네오픽션상>의 당선작과 심사평, 수상소감을 엿볼 수 있다. 새로운 작가의 탄생과 '다정한 네트워크'의 접속됨을 여실히 기쁘게 생각한다.



본 게시물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