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언와인드 : 하비스트 캠프의 도망자 ㅣ 언와인드 디스톨로지 1
닐 셔스터먼 지음, 강동혁 옮김 / 열린책들 / 2025년 7월
평점 :
13세에서 18세, 법으로 보호받아야 할 아이들이 오히려 법에 의해 처분된다. 부모나 정부가 쓸모없다고 판단하면, 그 아이는 살아 있는 채로 해체된다. 팔다리와 장기, 피부조직 게다가 뇌까지 남김없이 분리되어 해당 부분이 필요한 다른 사람들에게 이식된다. 이것이 바로 언와인드다. 사회는 아이들의 육체는 분리되지만 정신은 살아 있다는 궤변으로 이 비합리적인 제도를 정당화한다.
충격적인 디스토피아가 아닐 수 없다. 문제아로 낙인찍힌 코너, 주립 보호 시설에서 자랐으며 쓸모를 인정받지 못한 리사, 종교적 신념에 따라 기꺼이 바쳐지는 ‘십일조’ 레브 등, 전혀 다른 길을 걸어 온 아이들이 결국 언와인드라 같은 운명 앞에 높인다. 이들은 자신의 삶을 되찾기 위해, 한 명의 인간으로 인정받기 위해, 잔혹한 사회에 맞서 싸운다.
아이들은 도망친다. 하지만 단지 죽음을 피하기 위해서만은 아니다. 누군가 멋대로 정한 인간됨의 기준에 끌려다니 않기 위해서다. 살아 있다는 건 무엇일까? 한 사람의 가치는 누가 판단할 수 있을까? <언와인드> 속 세계는 사회의 기준에 맞지 않는다는 이유만으로 아이들의 인간성을 거침없이이 박탈한다. 다루기 어렵다는 이유로, 기대에 부응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혹은 순종적이어서 종교적 제물로 쓰기 좋다는 이유로.
어쩌면 오늘날의 현실과 무척 닮아있는 것 같기도 하다. 사람을 쓸모로 재단하고 한 번의 실수로 가능성을 꺾으며, 보편적인 인간상과 다르다는 이유로 서슴없이 기회를 박탈하는 모습은 현실에서도 쉽게 발견되지 않는가. 나는 누구인지,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그리고 내가 나로서 존재할 권리를 어떻게 지켜야 하는지를 진지하게 묻고 있는 듯도 하다. 읽는 내내 마음이 불편했고 그 불편함 덕분에 당장이라도 다음 권을 펼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