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덕경 (무삭제 완역본) ㅣ 현대지성 클래식 25
노자 지음, 소준섭 옮김 / 현대지성 / 2019년 1월
평점 :
고전이 주는 지혜는 항상 현재를, 또는 어떤 특정한 과거를 시찰하게 하는 중요한 덕목이 되는데요, 그렇게 하여금 또 오늘과 다른 내일, 그리고 미래를 생각하게 되지만, 아이를 키우는 일상 속에서 노자의 심오한 사상을 파악하는 것이 쉽지는 않더라고요. 하지만, 어쨌든, 오늘은 노자의 <도덕경>을 읽어보았어요. 무더워지는 여름, 시원한 신록의 향기를 맡으며 크게 숨을 들이 쉬고 내쉬며 아이와 산책을 했던 요즘이었는데요, 조금 전에 읽은 도덕경의 내용들을 되새김질하며 노자의 초상을 한 번 즈음 조금 묵상? 처럼 들여다 보게 되더라고요.
노자의 도덕경은 전반부의 도경과 후반부의 덕경으로 나뉘는데요,
모두 81장에 걸쳐 노자의 방대하고도 심오한 사상이 담겨있어요.
진정한 삶의 지혜와 위로가 필요한 시대라고 이야기하는 저자는,
논어에 비할 때 도덕경은 여유있게 욕심내지 않고 느긋하게 살아갈 것을 권하는 책이라고 해요.
떄론 바쁜 일상에 지칠 때 소확행이나 리케적인 삶을 통해 자신을 관철해보는 그러한 삶의 쉼이나, 여유를 통해 다시 다음을 충전하라는 이야기로 생각이 되었어요.
노자의 도덕경을 지금 이 나이가 되어 다시 읽으며 느낀 것은, 결코 노자의 사상이
현실을 도피한 무위자연, 소극주의 혹은 은둔의 이미지가 아니라는 것이예요.
한 마디로 노자의 <도덕경>은 인간과 사회, 그리고 우주에 이르기까지의 근본과 원칙을
일관되게 구하고, 가장 치열한 통찰의 사유를 함유하라는 것이었는데요, 무위자연의 양태 속에서 터득한 어떠한 인간의 품성이나 본성을 잘 갈고 닦아서
결국은 도리어 가장 치열하고 우리 인간의 삶에 구체적이며 실제적으로
행동과 삶이 행해져야 할 것을 주장하는 고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저자(소준섭)는 노자의 도덕경을 연구하면서 부자연과 반자연이 만연하고
탐욕과 인위, 기교, 과시, 기만이 팽배해지고 있는 현 시대에 가장 필요한 사상이 바로 노자의
도덕경이라고 보았어요.
노자의 사상에서 가장 중요하고도 어렵게 생각되는 '유'와 '무'에 대하여 알아보았어요.
유무상통, 유무상생이라는 고사성어로 표현되어지는 그의 사상은,
마치 성경에서 말하는 알파와 오메가처럼 처음과 끝, 혹은 저자의 해석처럼 운동변화의 최후규율이라고
생각이 되었는데요, 유와 무는 결국 쌍방향운동 혹은 역방향 운동이라고 하여,
결국 도이고 양면이라고 해요.
마치, 무언가 가득 채우면 비움을 곧 실천해야 다시 새로운 무언가가를
습득하고 행할 수 있는 것처럼 노자의 유와 무에 대한 개념은 항상
현재진행형으로 적용하면 되겠다고 생각이 되었네요.
다음으로 노자의 핵심 사상으로 빠질 수 없는 개념인 '무위'에 대해 알아보았어요.
무위란 흔히 우리가 알고 있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이 아니고요
되레 사람들로 하여금 자연에 순응하게 하고 그러면서 사물의 객관규율을 돕는 것이라고 합니다.
한자어 그대로 해석하면 결코 엄청난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이자 주나라 수장실에서
관리를 역임했던 노자의 사상에 대해서 잘 알 수가 없을 거라고 생각이 되었네요.
반드시 현대적인 개념과 풀이, 그리고 해석이 있는 양서를 통해 고전을 파악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해요.
도경 파트에서는 노자의 핵심 사상인 천하지구, 상선약수에 대해 우선 알아보았는데요,
사사로움이 없기 때문에 도리어 그 목적을 이룬다는 생각은 예나 지금이나 어디에든 적용된다고 생각했어요.
특히 매일의 일상이나 사람과의 관계 속에서 사사로움은 들추어내거나 나타내면 도리어 별로 이득이 되지 않는 어떠한 커뮤니케이션의 마음 기술이라고 생각이 되었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