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로마 신화 1 : 신들의 대전쟁 만화로 읽는 초등 인문학
박시연 지음, 최우빈 그림, 이선영 정보글, 김헌 감수 / 아울북 / 2017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만화로 읽는 초등 인문학


그리스 로마 신화 1권. 신들의 대전쟁



북트레일러만으로도 책을 만나볼 흥분이 넘쳐났던 준군이였습니다.





인문학을 배우려면 그 첫 시작이 그리스 로마 신화여야 한다는데.

사실, 준군은 아울북 그리스 로마 신화를 접하기 전 이미 그리스로마 신화를 몇번이고 읽어서

오히려 엄마보다도 더 그 흐름을 잘 알고 있답니다.

(엄마는 이름을 못외워서 이 신, 저 신 넘나 헷갈려 읽기를 포기했다는 ㅋㅋ)




하지만 준군이 읽었던 그리스 로마 신화를 어느날 무심코 보아하니

만화이지만 그 그림의 표현이 (에로스..편 이여서 그랬는지도 모르겠으나 ㅋㅋ) 다소..음..


준군이 왜 그리도 그리스 로마 신화를 좋아하는지 이번 참에 아울북 <그리스 로마 신화>를 만나보고서는 알게되었네요.



역시 <마법천자문>의 위력이 <그리스 로마 신화>1권에서도 그대로 드러났음을 느꼈답니다.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게, 재미있게, 그러면서도 유익하게, 학습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게 만들어진

아울북 <그리스 로마 신화> 1권. 신들의 대전쟁.


이제 울 준군, 그리고 뒤이어 빠지기 시작한 7세 쩡이양에게

이후 출간은 계속해서 기다림의 묘미를 알려줄 것 같습니다.




서양 문화의 원천인 고대 그리스 문화.

고대 그리스 문화의 바탕에 초석처럼 깔린 신화는 서양 역사를 이해하는 첫걸음이라고 할 수 있답니다.


우리가 세대를 뛰어넘어 그리스 로마 신화를 읽어야 하는 까닭.


여러 시대를 거쳐 오늘날까지 이어져 온 인류의 위대한 정신이자

지식의 창고, 상상력의 원천인 그리스 로마 신화이기때문인데요.



엄마도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게 그려진 아울북 <그리스 로마 신화>를 통해 비로소 뒤늦게 그 재미에 빠져봅니다.




 

천진난만한 소년으로 표현이 되어진 제우스.

그래서 오히려 무겁고 거대한 '신'의 느낌보다 마치 자신과 같은 입장으로 보게 되는지

더 빠져드는 아이들을 접할 수 있었네요.



크레타 섬의 장난꾸러기 제우스에서 새로운 왕 제우스가 되기까지의 이야기

그리고 똑똑해지는 신화여행을 통해 만화에서 학습서까지의 역할을 톡톡히 해낼

아울북 <그리스 로마 신화> 그 읽기를 들어가 봅니다.




엄마도 어렸을 때 순정만화에 빠져 한동안 읽었던 기억이 있는데요.

남자아이, 여자아이 모두를 매료시킬만한 캐릭터들의 그림이 먼저 그 흥미를 가중시킵니다.




자신이 어떻게 태어났는지, 왜 혼자 남겨졌는지,

자신이 누구인지 알고 싶은 제우스에게

지혜의 여신 메티스는 부모에 얽힌 이야기를 전하게 되지요.




지금으로부터 아주 먼 옛날, 카오스 상태의 세계에 형체를 지닌 존재

모든 신의 어머니, 땅의 여신인 가이아가 처음 세상에 나오게 되고

하늘의 신인 우라노스를 낳고 바다의 신인 폰토스를 낳게 됩니다.



땅의 여신 가이아는 하늘의 신인 우라노스와 결혼하여 열두 명의 티탄을 낳고

키클롭스 삼형제를 낳는데 키클롭스는 무시무시하게 생긴 외눈의 거인족이지요.

다시 헤카톤케이르 삼형제를 낳게 되는데 끔찍하게 생긴 거인족이구요.







우라노스는 흉측하게 생긴 키클롭스 삼형제와 헤카톤케이르 삼 형제를 못마따앟게 여기지요.

그리고 타르타로스에 던져버립니다.

자신을 버린 우라노스에게 몹시 화가 난 가이아는

잔인한 아버지를 더는 두고 볼 수 없어 무시무시한 낫을 만들어

자식으로 하여금 아버지의 힘을 빼앗도록 명하게 되지요.



티탄 십이 신 가운데 막내였던 크로노스는 가장 용감하고 야심이 컸던지라

그 일을 맡고 세상을 다스릴 힘을 얻게 됩니다.




하지만 타르타로스에 갇힌 동생들을 꺼내 주겠다는 가이아와의 약속을 모른척하게 되고

'네 자식이 너를 쫓아내고 네 자리를 차지할 것이다'라는 가이아의 저주 섞인 예언마저 믿지 않게 되지요.

하지만 우라노스가 흘린 피에서 태어난 복수의 여신인 에리니스 세 자매의

끊임없는 속삭임으로 크로노스는 불안하게 되고

누이인 레아와 결혼한 크로노스는 끔찍한 비극의 시작.

자식들을 모조리 집어삼키게 되지요.





페테르 루벤스가 그린 <자식을 삼키는 사투르누스(크로노스)> 명화에서도

만나보는 이야기이네요.


얼마전 간 미술전에서 이카루스의 애도를 보면서 이야기를 풀어내는 준군을 보고

아는만큼 보인다는 생각이 들었었는데..

그리스 로마 신화를 읽고 접하는 명화의 느낌이 또 다르네요.




레아는 딸 헤스티아, 데메테르, 헤라와 아들 하데스, 포세이돈을 차례로 낳았지만

크로노스는 다섯 자식을 모조리 꿀꺽 삼켜버리게 되고

다시 사내아이를 낳았지만 어떻게든 지켜내고 싶은 레아는

가이아에게 가서 도움을 청하게 되고

크로노스의 눈을 피해 크레타섬 동굴에서 요정들의 보살핌을 받으며 무럭무럭 자라난 그 아이가

바로 제우스임을 모두 전해듣게 됩니다.



그 많은 신들의 이름과 아들과 또는 누이와 결혼을 하는 계보에서

헷갈리고 이치에 맞지 않다고 생각했던 아주 옛날의 엄마의 그리스로마 신화는 참으로

어렵기만 했었는데요...



이제는 7세 쩡이양마저도 쉽게, 재미있게 받아들이는 그리스 로마 신화.

아울북의 눈높이 맞추기가 정말 마법천자문의 신화가 괜히 있었던게 아니었다 싶네요.




제우스와 크로노스의 싸움이 시작되고

메티스에게 건네받은 풀을 이용해 크로노스가 그동안 삼킨 제우스의 형제들을 다시 토해내기에 이르게 되고

제우스와 형제들에게 쫓긴 크로노스는 티탄 형제들과 힘을 합쳐 제우스와 맞서게 되는

티타노마키아, 티탄과의 싸움이 시작됩니다.

그 싸움에서 각 신들이 갖는 능력을 보는 재미도 쏠쏠하네요 ^^



할머니 가이아에게서 타르타로스에 있는 숙부들(일명 괴물...신들 ^^;;)과 힘을 합쳐

크로노스,티탄형제들에게 맞설것을 듣게 된 제우스는

지하세계 타르타로스에 가게 되고, 그곳에서 신의 무기인 벼락, 삼지창, 투구를 얻게 되네요.


제우스의 반격과 결국 제우스는 크로노스를 대신하여 새로운 신들의 왕이 되게 됩니다.



뛰어난 기술을 가진 키클롭스 삼 형제를 시켜 올림포스산 꼭대기에 자신과 형제들이 머물며

세계를 다스릴 신전을 세우도록 합니다.



그리스 아테네에 있는 올림피아 제우스 신전.



똑똑해지는 신화 여행에 제우스와 신전사진이 제대로 어우러져 보이는 것은

재미있는 책읽기가 가져온 학습효과이겠지요? ㅎㅎ




 


 

재미있게 쏙 빠져들어 만화로 읽는 그리스 로마 신화였다면

똑똑해지는 신화여행을 통해 유익한 학습효과까지 기대해 볼 수 있을것 같네요.



부록으로 들어있는 카드 세장은 이미 세 아이가 하나씩 나눠 가져 무슨..마법카드처럼 쓰이고 있기에

사진에 담지 못했네요 ㅋ





이 책을 감수하신 서울대학교 인문학 연구원 김헌 교수님과의 카톡 대화설정 코너의

'아이와 함께 생각해 보아요' 는

책을 읽고 난 뒤 아이와 어떤 면에 대해 생각해보면 좋을 지에 대한 길잡이같아서

만화로 쉽게 보는 그리스 로마 신화 이상으로 책을 통해 얻는 유익함이 참 많다 느껴졌네요.



이러니, 2권 미리 보기에 2권 출간날을 묻는 아이들입니다.

저 역시 넘나 기다려지네요.

만화책방에서 빌려온 1권 다음 어서 2권 건네받고 싶은 그런 느낌.

넘 간절한 맘 전해지지욤? ㅎㅎㅎㅎ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