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십에 읽는 자본론 - 풍요의 이름으로 우리가 놓친 모든 것에 대하여
임승수 지음 / 다산초당 / 202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주 오래 전에, 《자본론》을 펼쳐본 적은 있었다. 얼마 읽지 못하고 덮었지만. 책에 '오십에 읽는' 《자본론》 이란 제목을 붙인 이유가 궁금해서, 시간이 많이 흐른 지금이면 그 어렵던 책을 조금은 더 잘 이해할 수 있을까 하는 기대감을 안고 책을 읽었다.

실제로 고등학교에 출강한다는 작가는 자신의 사회주의, 마르크스 강의를 듣고 의대를 지망하던 우수한 학생이 갑자기 마르크스주의에 빠져들어 진로까지 바꾸겠다고 한다면 그 부모들이 화가 나서 자신에게 책임을 묻지 않을까 하는 발상에서 이 책이 시작되었다 밝힌다.

소설로 풀어내는 자본론. 어느 날, 자수성가한 중소기업 사장이 '의대 바라보며 공부하던 내 딸이 당신 강의를 듣고 사회학과에 가겠다고 한다' 씩씩거리며 작가를 찾아와 따진다. 딸은 마치 마르크스주의가 세상을 구원할 것처럼 이야기하는데, 그게 지금 세상에 가당키나 하냐고 오늘 아버지인 자신이 작가의 주장을 들어 보고 말도 안 되는 그 생각들을 바로잡아 주겠다며 논쟁을 시작한다.

사회주의가 세상을 바르게 움직인다면 노동자를 고용해 기업을 운영하고 이윤을 남기는 자본가인 자신은 악당이냐 묻는 이와 사회주의는 단순히 자본가를 악당으로 보는 정도의 관점에서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며 이념의 진정한 의미와 지향점을 차분하게 설명하는 작가.

책을 읽다 보면 자본가의 입장에 크게 공감하는 순간과 작가의 말에 고개를 끄덕이게 되는 순간이 교차하며 찾아온다. 그 어려웠던 자본론을 그래도 조금은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지금의 오십대는 자의로든 타의로든 젊은 시절 마르크스를 접했던 세대. IMF, 사회에서의 치열한 경쟁, 나와 가족의 생존을 위한 분투, 그 모든 힘든 과정을 버텨내고도 여전히 도태를 두려워하며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 매일의 삶은 이상적이지 않고 그저 부를 따라가는 것이 최선이 맞는 건지 확신할 수 없다. 젊은 날 아직 때 묻지 않은 맑은 마음으로 만나 신선한 충격을 안겼던 마르크스를 온갖 산전수전 다 겪은 지금 다시 만난다면 어떤 새로운 생각이 들까.



출판사(다산북스)에서 도서를 지원 받아 읽고, 주관적으로 작성한 후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