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고 너는 속고 있다
시가 아키라 지음, 양윤옥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수많은 상호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고 있다. 그중에서도 좋은 관계로 끝나는 경우도 있지만 좋지 않은 관계로 끝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너는 속고 있다>는 여러 관계 속에서도 좋지 못한 관계 속의 사람들의 이야기다.

일본이나 우리나라나 사기를 당하고 사기 대출, 불법대출, 개인 사채 하는 것은 똑같은 것 같다. 작가는 특히나 이쪽 문제를 적극적으로 써서 인지 이런 류의 대출 실행이 어떠한 문제가 있는지에 대해 여과 없이 드러냈다. 정말 이런 일이 일어날까 한 게 아닌 이런 일이 일어나는 것 중에 어느 것을 골라 허구가 아닌 현실의 어느 부분을 드러낸 것이 사회파 소설 같다.

소설 속 주인공 누마지리는 남편과 결혼하여 아이를 하나 데리고 있는 가족의 일원 중 하나였지만 남편의 사업 실패로 인해 남편이 엇길로 나가면서 같이 살기 힘들어서 남편을 두고 아이와 집을 나와 살게 된다. 그런데 혼자 아이를 키우면서 경제 활동을 하기란 무리. 그래서 이곳저곳 일자리를 알아보지만 자리마저 없는 상황에 집세, 전기세 등 각종 공과금이 밀리게 되면서 거리로 나앉을 신세가 된다. 그러던 중 누마지리는 어떻게든 돈을 벌어보기 위해 힘써보지만 내 뜻대로 되지 않고 급전 빌리는 곳에 손을 뻗치게 되는데, 그마저도 자기 욕정만 풀면 된다는 아저씨에게 걸려 돈 빌리는 것이 허사가 된다. 누마지리는 결국 또 다른 급전 빌리는 곳에 도움을 청하게 되고 그 채권자는 이상하게 마음 따뜻하게 돈을 빌려준다. 과연 이 채권자는 야쿠자랑 연결된 사람일까 아니면 원래 친절한 사채 업자일까.
속는 자와 속이는 자 두 가지로 이야기가 연결된다. 속았던 자가 나중에는 속이는 자가 되는 이야기인데 이 속에서 사채를 빌릴 수밖에 없는 자와 빌려주는 자와 빌려주는 자와 연결된 어둠의 자들을 이야기한다. 돈이 없으면 몸으로 때워야 한다는 논리가 암묵적으로 깔리는데 이런 것이 어쩔 수 없는 돈의 논리인가 싶어 마음 한켠 아픔이 밀려온다.

부모에게 알리지 말라는 이들, 남편 아내에게 말라는 이들, 회사에 알리지 말라는 이들 모두가 우리 사회에서 사채로 인해서 겪을 수밖에 없는 이들 중에 하나의 행동이 아닐까 싶다.

이런 사회 속 불편한 부분들만의 이야기로 끝이 나지 않는다. 마지막에 반전이 있으니, 그리고 너는 속고 있다의 진짜 의미를 알 수 있는 부분이 펼쳐진다.

마지막까지 놓칠 수 없는 무언가가 있는 소설, 사회에 대한 메시지가 있는 소설 추천합니다.

출판사로부터 책만을 제공받아 작성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