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월한 조정자들 - 리더는 혼자 성공하지 못한다
김준태 지음 / 교보문고(단행본) / 201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보통 어떤 조직이나 공동체의 '리더'에 대해서는 익히 들어서 잘 알고 있습니다. 잘 안다는 것은 그에 대해 하나부터 열까지 거의 모든 것을 알고 있다는 의미라기보다는, 그 사람의 이름을 자주 접하므로 그 존재가 익숙하다는 말입니다. 조선시대 역대 임금들이나, 오늘날 대기업 오너(Owner)들의 이름 등에 대해 잘 아는 것이 그 예라 하겠습니다.

하지만 이 책의 표지에도 쓰여 있듯이 '리더'는 결코 혼자서는 성공하지 못한다고 생각합니다. 어떤 한 사람이 아무리 뛰어나다 하더라도 주변에서 그를 도와주거나 보필하거나, 그에게 힘을 보태 줄 수 있는 사람이 아무도 없다면, 그 혼자만의 힘으로는 분명 한계가 있기 마련입니다. 중국의 삼국지 같은 잘 알려진 역사만 보더라도 명성이 자자한 역대 군웅들의 곁에는 으레 걸출한 장수나 출중한 책사가 함께 하였습니다. 이러한 자들이 모두 재상(宰相)의 반열까지 오른 것은 아니지만, 그 만큼 때로는 그 이상의 능력을 발휘하고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렇듯 리더의 주변에는 그 리더에게 (그가 능력이 부족하다면 그 부분을 채워주거나 능력은 뛰어나지만 워낙 많은 일을 떠맡아 버거울 때 그의 책임의 무게를 덜어주는 등) 어떠한 형태로든 힘을 보태주고 실어줄 수 있는 조력자(책에서는 2인자나 조정자라는 표현을 씁니다)가 필요한 법입니다.

 

책은 우리나라 조선조(朝鮮朝)의 역대 왕들에게 있어 이러한 조력자라 할 수 있었던 역대 재상들 중에 어떤 분야에서든 그 탁월한 능력을 발휘했던 이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우리가 그동안 학창시절 역사시간이나 텔레비전 대하드라마 등을 통해 자주 접해서 제법 익숙한 '황희(黃喜)', '김종서(金宗瑞)', '신숙주(申叔舟)', '유성룡(柳成龍)' 같은 재상들 뿐만 아니라, '허조(許稠)'나 '정태화(鄭太和)', '정광필(鄭光弼)' 등 상대적으로 낯선 재상들도 등장합니다.

우리에게 잘 알려진 재상들에 관하여 우리가 알고 있던 사실 외에 또 다른 측면을 짚어주는 것도 좋았지만, 개인적으로는 (저만 낯설게 느껴졌던 재상들이었다면 할 말이 없지만) 잘 몰랐던 인물들에 대한 이야기를 더욱 즐겁게 읽었던 것 같습니다.

 

또한, 사람마다 관점이 다르기 때문에 성공이라고 단정 짓기는 어폐가 있을지도 모르지만, 어쨌든 성공적으로 임기를 보냈던 재상들과 함께 '실패했던 재상들'(11장), '숙종과 영조대의 영의정들'(16장, 17장), '조선 왕조 말기 때의 재상들'(21장) 등도 소개해 주고 있어 더욱 풍성하고 재미를 더했던 시간이었습니다.

 

지나간 일이라도 역사(歷史)를 통해 배우고 교훈 삼을 수 있다면, 현재를 채우고 미래를 대비할 수 있을 것입니다. 재상과 같은 조력자(2인자)는 정치세계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모인 어떤 조직체나 공동체에도 존재하고, 또 우리 모두가 윗사람을 돕고 아랫사람을 이끌어야 하는 2인자의 위치에 있거나 앞으로 설 것이기 때문에, 이 책은 많은 교훈과 생각거리를 지금의 우리에게도 주고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