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고심령학자
배명훈 지음 / 북하우스 / 201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고심령학자. 사실 책 제목이자 주인공이기도 한 이 말은 저에게는 굉장히 낯선 단어였습니다. 사실 떼어놓고 보면 고고학자나 심령학자는 그래도 그동안 살면서 몇 번은 들어봤던 것 같습니다. 그렇다고 고고학자와 심령학자 분들이 정확히 어떤 일을 하시는지 똑 부러지게 한마디로 정리해서 설명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니, 이 두 말의 합성어가 아닐까라고 그저 추측할 뿐이었던 저에게는 그야말로 신조어라 할 수 있었습니다. 그래도 책에 고고심령학이 무엇을 연구하고 무엇에 대한 학문인지 설명이 되어 있을 것이란 생각에, 그리고 무엇보다 책 소개를 통해 접한 대강의 스토리가 저에게는 책을 선택할 당시 굉장히 흥미롭고 재미있게 느껴졌었기 때문에 읽게 되었습니다.

 

이 책은 '고고심령학'이라는 학문을 연구하는 학자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고고심령학이란, "심령학적인 관찰을 통해 고고학적인 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자 하는 학문, 혹은 결국 같은 말이겠지만 고고학 연구에 도움이 되는 심령현상들을 과학적으로 측정해 역사 연구의 끊어진 고리를 연결해주는 학문"이라고 대강 정의내릴 수 있는 학문 분야입니다.

고고심령학계에서 몇 안 되는 사실 거의 유일하다고 볼 수 있는 실력자이자 대가인 '문인지' 박사가 정상적으로 운영되지 않고 이름만 천문대이던 곳에서 생을 마감하면서 이야기는 시작됩니다. 그녀의 제자 조은수는 스승인 문인지 박사가 천문대에서 서재로 사용하던 공간의 지도화 작업에 참여하게 되고, 그 무렵 심령현상(요새빙의)로 추정되는 성벽이 서울에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그 후, 빙의 현상의 진실을 알아내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조은수를 비롯한 고고심령학자들의 이야기가 펼쳐집니다.

 

솔직히 말하면, 저에게는 즐겁거나 쉽지만은 않은 시간이었습니다. 제가 워낙 문과성향이 강한 사람인지라, 수학이나 과학을 소재로 한 글에 대한 부담이 꽤 큰 편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런 유의 책은 잘 읽지 않는 편입니다. 또한 제가 워낙 독서의 재미에 빠진지 얼마 안 됐고 책도 빨리 읽지 못하는지라 저자인 배명훈 씨가 작품 활동을 한지도 10년이 훌쩍 넘은 베테랑 소설가인지 미처 몰랐습니다. 하지만 책 마지막에 담긴 해설이나 표지에 쓰인 추천글만 보더라도 그가 얼마나 많은 독자층을 가지고 있는 뛰어난 작가인지 알 수 있었습니다. 이번 책을 접하고 보게 되면서 저도 이제 배명훈이라는 작가에 대해 또 그의 작품들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고 앞으로 수많은 독자 중 한 사람으로서 그의 작품들과 꾸준히 만나고 싶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