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은 왜 청춘이 아니란 말인가 - 20대와 함께 쓴 성장의 인문학
엄기호 지음 / 푸른숲 / 201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부터 앞표지에 쓰여 있는 부제까지 눈에 확 띄었고 흥미를 크게 자극했다. 안 그래도 요즘 소설이나 에세이에 편중된 책 읽기 습관을 교양 ․ 상식 혹은 사회 인문 쪽으로 바꿔보려고 노력하던 중에 딱 좋은 책을 만난 것이다. 아직 20대이니 청춘이라고 할 수 있고 인문학에 관심을 갖고 있는 대학생으로서 이 책속의 이야기가 곧 내 또래의 이야기요, 내 친구들의 이야기며 결국 나의 이야기로 다가왔다. 지금 이 시대의 청춘은 어떠한 청춘인가? 젊음을 만끽하고 있는가? 이와 같은 질문에 우리나라의 사회적 현실에서 찾을 수 있는 답은 긍정적 보다는 부정적인 대답들이 나올 가능성이 훨씬 높다고 생각한다. 

  《이것은 왜 청춘이 아니란 말인가》는 저자가 지난 2년간 국내 두 곳의 대학에서 진행한 강의의 기록이다. 학생과 서로 얼굴을 보며 그들의 말을 듣고, 그 의견에 질문을 던지며 소통한 기록 말이다. 그 소통은 지금의 대학생들이 세상, 즉 정치와 경제 그리고 사회와 문화, 가족과 연애, 돈과 소비 등에 대해 어떤 경험을 하였고 어떤 생각을 갖고 있으며 어떤 언어로 말하고 있는지 공유한 지적대화였다. 당연한 말일지도 모르지만, 책속에 등장하는 이들의 생각을 모든 20대들의 생각이라고 일반화 할 수는 없다. 하지만 그들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 볼 가치는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책을 통해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것도 오늘날 청춘들이 겪고 있는 현실을 좀 더 신선하고 새로운 시각으로 보자는 것이 아닐까. 이 책의 가장 두드러지는 점은 저자의 시선과 오늘날의 청춘을 살고 있는 우리들의 글이 교묘하게 교차하면서 그 생생한 아픔의 목소리와 아픔에 대한 저자의 분석이 아주 절묘하게 잘 어우러진다는 점이다. 

  책을 읽으면서 나의 지나간 20대와 미래에 내 앞에 펼쳐질 20대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더 늦기 전에 이 책을 만난 것에 감사하고 많은 생각과 반성을 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진 것 같아 기쁘다. 우리 사회를 보다 진지하고 깊이 있게 통찰해 볼 수 있도록 해준다는 의미에서 다른 시대에 20대를 보냈던 지금의 중, 장년층 분들과 지금 이 순간 20대를 보내고 있는 우리들 그리고 마지막으로 앞으로 다가올 20대를 기대하고 준비하는 청소년들이 꼭 보아야 할 책이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