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싱커 (양장) - 제3회 창비 청소년문학상 수상작
배미주 지음 / 창비 / 2010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창비 청소년 문학상>이 작년 11월 13일 수상작을 발표했다. <완득이>, <위저드 베이커리>에 이은 세 번째 수상작이다. 솔직히 이번 기회를 통해 알게 되기 전까지는 <창비 청소년 문학상>에 대해서 거의 모르고 있었다. <완득이>도 <위저드 베이커리>도 아직 접해 보지 못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명성은 알 만한 사람은 다 아는 꽤 높은 것인 듯싶었다. 그런 촉망받는 문학상에서 심사위원 만장일치로 당선됐다는, 그리고 우리문학에서 가장 취약한 미래소설 부문에서 빼어난 성과로 기록되리라는 평가까지 받았다는 사실이 강하게 내 관심을 끌었다. 이 화려한 이력을 자랑하며 많은 관심과 주목을 받는 수상작의 이름은 <싱커Syncher>다. ‘싱커’란 소설 내에 등장하는 게임(시뮬레이션 게임이라고 해야 할까?)의 이름으로 신세계 아마존 속에서 사는 동물들(소설 속에서는 반려수(伴侶獸)라고 한다.)의 의식에 접속(싱크)하여 그 동물의 감각을 그대로 느낄 수 있는 게임을 말한다. 이 단어의 어원인 Sync는 ‘동조’ 혹은 ‘동시발생’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 게임 ‘싱크’를 아이들이 즐기는 장면에서 자꾸 영화 <아바타>가 떠오른 것은 나뿐일까?
21세기 중엽, 유럽연합과 미국 등의 강대국에 대항해 출범한 ‘동아시아연합’이 이미 포화상태에 다다른 지구를 벗어내 새로운 삶의 터전을 찾으려고 시행한 ‘베타지구 프로젝트’의 결과물인, 백년의 역사를 가진, 거대 지하도시 ‘시안’과 열대우림을 그대로 재현한 ‘신(新) 아마존’을 그 배경으로 이야기는 시작한다. ‘시안’은 거대기업 ‘바이오옥토퍼스’의 명예회장 파에타가 사욕을 채우기 위해 기만과 거짓으로 쌓아올린 장난감 도시이다. 이 도시에서는 ‘시민권자’만 인간답게 생활을 영위할 수 있고, ‘비(非)시민권자’는 그 어떠한 권리도 가질 수 없다. 이 세계에도 빈부격차는 여전히 존재한다. 그에 따라 시민층을 일생에 걸쳐 온갖 값비싼 유전자 상품들을 시술받는 부유층인 ‘유전자 귀족’들과 수정란 단계에서 장수 유전자 삽입 시술만 받는 것이 전부인 빈곤층 ‘늦둥이’, 이렇게 커다랗게 둘로 구분할 수 있다. 늦둥이들은 장수 유전자 삽입 시술에 따라 성장기가 길어지고 2차 성징도 늦게 나타나며 추위에도 약하다. 작은 체구와 발육부전의 몸 그리고 허약한 면역 체계가 특징이다. 덕분에 시안의 아이들은 공장에서 찍어 낸 듯이 모두 비슷비슷한 외양을 갖고 있다. 반면, 유전자 귀족들은 마치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신들처럼 훤칠한 키에 미모를 갖춘 젊은이의 모습을 갖고 있다. 부의 배분이 그렇듯이 부유층보다 빈곤층이 훨씬 많은 시안에서도 늦둥이들이 훨씬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주인공 ‘미마’, ‘부건’, ‘다흡’ 등도 이런 늦둥이 출신 아이들이다. 미마가 우연한 계기로 ‘싱커’라는 게임을 알게 되고 그를 통해 자연 세계에 접속하면서 본격적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아름다운 원시림과 미지의 야생동물, 태초의 변화무쌍한 기후를 간직한 ‘아마존’이라는 이국적 환경 속에서 아이들은 해방감, 부모님의 따스한 사랑 그리고 포근함을 느끼게 된다. 그리고 그 속에서 그들은 친구 그리고 그 이상의 친밀감으로 뭉쳐 하나의 거대한 조직을 이루게 되고, 점점 이 세계에 애정을 갖게 되어 자신들이 실제로 존재하는 시안이상으로 아끼고 지키고 싶은 제 2의 고향으로 생각하게 된다. 그러던 중 바이오옥토퍼스의 음모를 알게 되고 이에 대항해 힘을 합쳐 대항하기에 이르는데…….
<싱커>는 미래 사회와 경이로운 자연에 동시에 접속하는 새로운 경험을 우리에게 선사해준다. 읽으면서 나도 모르게 미마를 비롯한 늦둥이 아이들의 편이 되어 그들의 행동에 뭉클해하고, 그들을 응원하고, 힘내라고 외치고 있는 나를 발견하곤 했다. 그 누구도 미래를 정확히 알 수는 없다. 그래서 더욱 이 소설이 와 닿는지도 모르겠다. 지금의 어른들이, 아니면 미래의 어른들이 <싱커>속의 세계와 같은 환경을 후세들에게 물려준다는 것이 얼마나 끔찍한 일인지 생각해봤다. 물론 급변하는 과학문명과 나날이 파괴되는 자연환경 그리고 한정적인 자원 때문에 선택의 여지가 없는 상황이 닥칠지도 모르지만, 가능하다면 ‘시안’과 같은 세상은 물려주고 싶지 않다. 우리의 아이들에게 괴로움, 고통 그리고 아픔의 시간들을 물려주고 싶지 않은 것이다. ‘우리는 자연을 소유하고 지배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잠시 자연을 빌려 쓰고 있는 것이며, 이 자연을 후세에 물려주어야 한다’는 그 누군가의 말이 책을 읽는 동안 가슴속을 떠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