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체가 일각돌고래라면 - 인간이 만물의 영장이라는 편견에 대하여
저스틴 그레그 지음, 김아림 옮김 / 타인의사유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른 동물에 비해 월등히 앞선다고 알려져 있는 지능을 바탕으로 인간은 엄청난 문명과 발전을 이뤄냈습니다. 이로 인해 우리는 그 어느 때보다 편리하고 많은 것을 즐길 수 있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아마 많은 분들이 이에 대해서는 동의하실 것입니다. 하지만 그런 기술의 발전이 우리 인류에게 지금껏 좋은 것만 선사한 것은 아닙니다. 살상 무기의 개발이나 환경 파괴 등을 통해 직접적인 생명의 위협을 초래하는 것은 물론, 우리가 살고 있는 이 터전, 지구의 수명까지 급속히 단축시키고 있는 것이 엄연한 현실입니다.


우리는 대게 동물에 대해 우리 인간보다 하등 한 존재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다른 사람과는 다르게 대하고 심지어 심각하게 학대를 가하는 경우도 어렵지 않게 접하고는 합니다. 그럴 때마다 사람이 살아있는 생명에게 어떻게 저렇게 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 씁쓸하고 때로는 두렵기까지 합니다. 그들이 그런 일을 벌이는 것에 대해서는 전문가의 정확한 분석이 필요하겠지만, 아마 이는 자신이 그 동물들보다 더 우월한 존재라는 인식에 기반한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그런 인식에서부터 상대 존재를 함부로 대하는 생각과 행동이 시작되는 것이겠죠.


하지만 이것이 사실이 아니라면 어떨까요? 동물의 행동, 언어, 의사소통, 인지 등의 진화에 대해 연구하고 있는 생물학 교수인 지은이. 자신의 연구와 경험을 바탕으로 발견한 동물계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소개하고자 본 책을 집필했습니다.


앞서 살짝 언급했는데, 만물의 영장이라는 말까지 만들 정도로 우리 인간은 스스로의 존재에 대해 우월함을 갖고 있습니다. 하물며 물질적 혹은 비물질적인 성취에 따라 갖은 인간끼리도 다른 인간을 무시하고 비인간적인 태도를 취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아마 아무도 지금껏 의심해 본 적 없을 것 같은 이 논리에 지은이가 던진 도전장이 바로 본 책입니다.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한 튼튼한 논리와 풍부한 사례로 우리의 생각에 파장을 일으킵니다.


본 책을 통해 전하는 지은이의 주장을 어떻게 받아들일지는 결국 읽는 사람의 몫입니다. 하지만 책을 읽으면서, 또 읽고 나니 더욱 그의 주장에 많은 사람들이 한 번쯤은 귀 기울여보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럼으로써 완전히 다른 사람처럼 급격히 바뀌지는 않더라도, 작은 변화는 충분히 일어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제게는 지은이의 바람처럼 그의 주장이 충분히 설득력 있게 다가왔기 때문입니다.



※ 출판사로부터 책을 지원받았으나, 본 서평은 제 주관적 견해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