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돈키호테
김호연 지음 / 나무옆의자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들 어렸을 적 추억의 장소가 하나씩은 있지 않으십니까? 오락실, 놀이터 같이 몇몇 곳이 떠오르네요. 주인공 "솔"에게는 "돈키호테 비디오"가 그런 곳이었습니다. 그곳은 동네 중학생들 몇몇이 모이던 아지트 같은 곳이었습니다. 돈키호테라 자칭하는 가게 주인아저씨. 누가 가게 이름을 지었는지 바로 알 수 있습니다. 아이들은 그를 돈 아저씨라 부르며 잘 따랐습니다. 그는 아이들에게 정말 좋은 사람이었거든요. 그 비디오 가게에서 아이들은 아저씨와 영화뿐만 아니라 책도 함께 보고 떡볶이를 먹기도 했습니다. 예민한 시기, 여러 사정으로 외롭거나 어려운 시절을 보내던 아이들에게는 어쩌면 집보다 더 좋은 곳이었을지도요. 그곳에는 아저씨와 함께 한 추억이 가득했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그곳에서 꿈에 대해 배우고 생각할 수 있었습니다.


외주 프로덕션에서 피디로 일하던 솔은 자신이 기획한 예능 프로그램이 크게 성공했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해고되어 고향인 대전으로 내려옵니다. 경제적 자유를 이룬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시집을 갈 생각도 없었던 그녀는 자신의 피디 경력을 살려 유튜브를 해보고자 궁리합니다. 아이템을 고민하는 장면에서 인터넷에서만 보던 "노잼(재미 없는) 도시"라는 표현이 너무 적나라하게 등장해 슬며시 웃음이 났습니다. 예전 돈키호테 비디오 가게 자리를 찾은 솔은 이제는 카페가 된 그곳에서 우연히 돈 아저씨의 아들 "한빈"을 만나게 됩니다. 그에게서 당시 돈 아저씨가 머물던 공간인 지하실이 여전히 그대로 남아있다는 이야기를 듣게 되고 함께 찾아가죠. 정말 오랜만에 간 추억의 공간에서 감회에 젖은 그녀. 가족인 한빈에게 돈 아저씨의 근황을 묻지만, 그도 연락이 끊긴지 꽤 오래라는 답을 듣게 됩니다. 한빈은 솔에게 자신에게까지 숨어버린 아빠의 행방 찾는 것을 도와달라 청하고, 솔 역시 지금의 자신이 있게 된 데는 아저씨와 비디오 가게의 영향이 적지 않았다 생각하며 도와주기로 결정하죠. 그렇게 '돈 아저씨를 찾기'를 유튜브 콘텐츠로 정한 솔은 한빈과 함께 끝을 장담할 수 없는 여정을 시작합니다. 과연 둘은 돈 아저씨를 찾을 수 있을까요?


이렇게 꿈을 키워주고, 삶을 살아가는 데 힘이 되는 기억, 추억, 그리고 사람이 있다는 것은 분명 행복한 일입니다. '그동안 꿈이라는 단어를 너무 멀리했던 것은 아닌가?, 지금의 나는 어떤 꿈을 꿀 수 있을까?' 등 생각이 많아지는 시간이었습니다.



※ 출판사로부터 책을 지원받았으나, 본 서평은 제 주관적 견해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