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의 독서가 시작되면 아이의 미래가 달라집니다 - 부모 독서 장려 캠페인
박근모 지음 / 로북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구나 "좋은 부모"가 되고 싶어 합니다. 그 방법으로 "독서(책 읽기)"를 제안하는 책이 바로 본 책입니다.


본 책에는 '자녀가 책을 좋아하게 하려면 부모부터 책을 읽어야 한다'라는 단순한 메시지만 있지 않습니다. 저자는 우선 독서 교육 시작 전 부모가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부터 시작해, 구체적인 독서 방법을 저자 자신의 경험을 녹여 설명합니다. 저자도 다른 부모처럼 자신의 자녀, 자녀 교육을 위해 책을 읽기 시작했는데, 그것이 자기 본인의 책 읽기로 이어진 것입니다. 그렇게 본격적으로 읽기 시작한 책들로부터 얻은 통찰도 나누고 있습니다.


'자녀의 행복과 온전한 독립'이 바로 "자녀 교육의 목적"이라고 저자는 말합니다. 이 부분을 읽으니 생각이 많아졌습니다. 그동안 자녀의 미래에 대해 그저 막연하게만 생각한 것 같고, 보다 진지하고 치열하게 고민하지 않은 것 같아 부끄러워졌습니다. 위 두 가지에 실질적 도움이 되는 것으로 저자는 '폴리매스적 사고와 그에 따른 삶의 영위'를 꼽습니다. 저자에 따르면, '폴리매스(Polymath)'란 "다양한 영역에서 출중한 재능을 발휘하면서도 방대하고 종합적인 사고를 지닌 사람"으로, 책을 통하지 않고서는 결코 폴리매스가 될 수 없습니다. 여러 분야의 지식을 융합하는 것이 폴리매스의 핵심이기 때문입니다. 역사적으로 폴리매스라 할 수 있는 사람들 역시 모두 책의 중요성을 강조해왔습니다.


폴리매스적 사고를 한다는 것은 '나는 어떤 사람이고, 무엇을 좋아하고, 잘 하는지' 등 자신에 대한 질문의 답을 찾아가는 과정이라고 저자는 말합니다. 이러한 사고를 위해서는 '호기심'이 필요하고, 이를 키울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 바로 '책 읽기'라고 저자는 강조합니다.


'무의식'은 말 그대로 우리가 어찌할 수 없는 영역이지만, 저자는 우리가 이것에 '책 읽기'를 통해 의식적으로 관여할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본 책에서 저자가 말하는 "책 읽기(독서)"란 바로 '공부'입니다. 저자가 말하는 공부의 궁극적인 목적은 바로 '무의식에 의식적으로 영향 주기'입니다. 무의식이 태도를 낳고, 태도는 말과 행동이라는 습관으로 이어진다고 저자는 주장합니다. 따라서, 무의식을 긍정적으로 바꾸면 이는 궁극적으로 긍정적 태도와 긍정적 습관으로 이어집니다. 이를 통해 더 나은 어른, 더 나은 부모로 성장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책 육아"는, 저자 말대로, 크게 두 가지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아이에게 책을 읽게 만드는 육아'와 '부모가 책을 읽고 그것을 적용해 육아하는 것'입니다. 본 책은 둘 다 포함하고 있다 생각합니다. 우선 부모 자신이 바뀔 수 있는 책 읽기를 이야기하고, 아이와 함께 책 읽기 활동을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아이도 달라질 것이기 때문입니다. 저자도 책 읽기의 목적으로 '나(부모)와 자녀의 변화'를 말하고 있습니다. '책 읽기를 통해 부모가 먼저 성장하고, 이러한 성장을 바탕으로 우리 자녀를 더욱 잘 양육하자'는 것이 바로 저자의 메시지가 아닐까요?


자녀 양육에 도움이 되는 책 읽기가 궁금해 읽기 시작했는데, 책 읽기의 본질과 제 자신에 대해서도 많이 생각하고 배울 수 있었던 의미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 출판사로부터 책을 지원받았으나, 본 서평은 오로지 제 주관적 견해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